삼성전자의 주가는 최근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며 5만1000원으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11월 14일 이후 가장 낮은 종가로, ‘트럼프 발 관세전쟁’이 반도체 산업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경영권 불법 승계’와 관련된 의혹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67% 하락하며 5만1000원으로 마감했다. 이 회장이 무죄 선고를 받은 이후에도 주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으며, 이는 외부 경제 환경의 급변함이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의 보복 관세가 반도체 수출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예상이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의사를 강하게 내비친 바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걸친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있다. IBK투자증권 정용택 수석연구위원은 “삼성전자의 주가는 사법 리스크보다 관세의 영향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올해 1분기에 실적 저점을 확인한 후 미국이 중국에 대한 입장을 확실히 할 경우 주가 반등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증권사들의 삼성전자 평균 목표주가는 최근 하향 조정되어 7만5000원보다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이후 여러 증권사가 일제히 목표가를 낮추면서 생긴 결과이다.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목표주가가 지난해 9월의 11만원을 넘었던 수준에서 4만원 가까이 하락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두드러지면서 외국인 지분율은 49.8%로 떨어졌다. 이날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800만주 가량 순매도하였으며, 이는 8거래일 연속 매도 우위를 유지한 것이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의 지분 절반 이상은 국내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이 보유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이날 4000억원 넘게 순매수하고 있어 ‘국민주’에 대한 베팅이 계속되고 있다.
결국 삼성전자는 외부 환경의 변수와 업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가 하락세를 겪고 있으며, 이재용 회장의 무죄 판결 자체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반도체 산업에 대한 향후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꾸준히 정보를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