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국내 1000대 상장사들의 총 매출은 1997조 원에 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중 삼성전자는 2002년부터 2024년까지 23년 연속으로 매출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한국CXO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총 매출은 1863조 원에서 134조 원 증가한 1997조 원으로 확인되었다.
1996년 국내 상장사들의 매출 규모는 390조 원에 불과했지만, 2008년에는 처음으로 매출 1000조 원 시대를 열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은 209조 522억 원으로, 2022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연결 기준으로도 매출은 300조 8709억 원이며, 이는 2022년의 302조 2313억 원에는 못 미쳤지만 여전히 높은 성과를 나타냈다.
삼성전자는 1996년에 비해 매출이 대폭 성장했다. 당시 삼성전자의 별도 기준 매출은 15조 8745억 원으로, 삼성물산과 현대종합상사에 이어 3위였다. 이후 2002년에 삼성물산을 제치고 국내 매출 1위 자리에 오른 이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삼성전자가 2002년에 39조 8131억 원의 매출을 올렸을 때와 비교하면, 이제는 그 수치가 200조 원을 넘어서며 경이로운 성장을 이루었다.
2023년 대비 2024년 삼성전자의 매출 비중은 10.5%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11%대 기록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변화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해 1000대 기업 중 매출 1조 원을 넘는 기업은 248곳으로, 2022년 258곳에서 감소세를 보여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에코프로비엠은 2023년에 3조 원대 매출을 올리며 100위권에 진입했지만, 지난해에는 6900억 원대로 순위가 대폭 하락했다. 반면 넷마블은 지난해에 매출 1조 824억 원을 기록하며 다시 매출 1조 클럽에 합류했다.
2024년 매출 톱10의 순위에는 변화가 발생했다. 삼성전자, 한국전력공사(91조6469억 원), 현대차(79조607억 원), 기아(63조2567억 원) 외에는 SK하이닉스가 5위로 급상승했다. 이전의 10위에서 5위로 올라선 SK하이닉스는 재작년에는 5위에 올랐던 한국가스공사에 비해 선전했다.
한국CXO연구소는 올해 1분기 경영 성적을 기반으로 전자업종 및 자동차, 조선 분야의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연간 기업 매출이 2000조 원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2분기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불확실성에 대해서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