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반도체 비전’에 힘입어 주가 7만원선을 회복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투자자들의 이탈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에서의 수요 증가로 엔비디아가 삼성전자의 최신 고대역폭메모리(HBM)의 납품을 조기에 진행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으나, 개인투자자들은 차가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15일까지 개인투자자들은 삼성전자 주식에서 총 4500억원 규모를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삼성전자가 애플의 차세대 칩을 미국의 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한 소식이 전해지고 주가가 4거래일 만에 7만원대로 회복된 상황 이후 발생한 일이다.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는 7만1000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개인투자자들은 연속적으로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특별히 11일 하루를 제외하고는 계속된 매도세가 관찰되고 있다.
또한, 개인투자자들의 삼성전자에 대한 신용 빚투 규모 또한 점차 감소하고 있다. 코스콤 CHECK에 의하면,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삼성전자의 신용융자 잔고는 54억원가량 줄어들었다. 이러한 신용 거래는 2거래일 뒤에 결제되기 때문에, ‘7만전자’ 주기 동안의 신용잔고 변동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달 14일에는 신용잔고가 8472억원에 달했으나, 이달 13일에는 이에 비해 7428억원으로 감소했다.
이와 더불어 개인투자자들은 삼성전자를 떠나며 방산업체 LIG넥스원과 현대로템의 신용 잔고를 늘리는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미끄러지는 상황에서도 나타나고 있으며, 방산업종의 주가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증권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사업에 이어 HBM 분야에서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 처리 장치(GPU) 블랙웰의 출하가 재개된다면 HBM 수요의 급증과 함께 삼성전자의 HBM3E 공급망 진입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HBM4의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 통과에 대한 기대감도 고조되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HBM4가 발열 문제와 성능 저하 우려 없이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HBM4의 납품이 가시화되거나 새로운 파운드리 거래선이 확보될 경우 주가 추가 상승을 이끌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