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 거품론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전망…배경은?

[email protected]



삼성전자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량이 2026년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투자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KB증권은 삼성전자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16만원으로 설정했다. 이들은 구글의 텐서처리장치(TPU)를 통한 인공지능(AI) 생태계의 확장이 삼성전자의 메모리 공급 증가, 파운드리 가동률 증가, 그리고 제미나이에 따른 갤럭시 판매 증가와 같은 여러 방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7세대 TPU 모델에는 HBM3E가 탑재되고, 내년에는 8세대 TPU 모델에서 HBM4가 사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2026년 삼성전자의 HBM 공급량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TPU는 반복적인 학습보다 저장 용량과 연산의 효율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DDR5, LPDDR5X 등의 일반 D램 공급량 또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KB증권은 구글 AI가 대규모로 자본 지출을 계획하고 있어 AI 수익성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 관련주의 주가 상승을 견인하며, 삼성전자의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특히 TPU는 GPU보다 더 높은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가 많아, 특정 용도에서 비용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은 TPU를 통해 검색 광고와 유튜브 등으로 매출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AI 수익 모델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는 AI 버블 우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추론 AI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이에 따라 서버의 D램 수요는 2026년까지 전년 대비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공급은 20% 미만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극심한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이라는 경고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체 D램 생산능력의 70%가 일반 D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AI 생태계의 다변화에 따른 최대 수혜가 기대된다. 2026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29% 증가한 100조원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분석은 삼성전자가 향후 AI 시장의 성장과 함께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소비자와 기업이 AI 기술을 도입함에 따라 메모리 수요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의 HBM4는 속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조기 품질 인증 통과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강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