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업 증가로 인한 경영 압박 심화…좀비기업 비율 역대 최고치 도달”

[email protected]





최근 한국 상장기업의 경영 한계 상태에 진입한 기업 수가 사상 최대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 상태에 빠진 상장기업은 총 541곳에 달하며, 이는 전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급증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더불어 미국 관세 등 대내외적인 불안요소들이 겹친 결과로 분석된다.

일반적으로 상장기업은 일정 수준의 재무 검증을 통과한 회사들로, 안정적인 경영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지나, 현재 많은 기업들이 이자마저 상환하지 못하는 ‘좀비기업’으로 전락하고 있다. 실제로 상장기업 중 22.6%에 해당하는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이는 1999년 외환위기 이후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올해 들어 기업 신용 평가가 강화되면서, 은행들은 건전성 확보를 위해 대출을 더욱 엄격히 조이는 추세다. 이로 인해 상장기업들 역시 신용등급 하락의 압박을 받고 있으며, 이자 부담이 심화되면서 재무 건전성 악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건전성 평가를 강화하는 은행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방에서 영세 자영업자들의 부채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발표된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여러 금융기관에서 빚을 지고 있는 자영업자들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749조6000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세종(69.4%), 경북(10.5%), 경남(8.1%) 등 지역에서 부채 증가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금융사 자본규제를 완화해 기업 유동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벤처투자조합에 대한 위험가중치 조정과 부동산 개발 금융 및 부실채권에 대한 기준 완화가 검토되고 있으며, 이는 자영업자와 기업의 자금 경색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지원 조치가 충분하지 않으며, 취약 차주에 대한 구조조정과 투자의 유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부실 대출의 폭증이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할 때, 이른 시일 내에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