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수혜주 강세, 증시 신고가 속출

[email protected]





이달 들어 새로운 정부의 정책 기대감으로 국내 증시가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있다. 현재 전체 상장 주식의 약 5분의 1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며, 하반기에도 이러한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6월 1일부터 13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각각 444개의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상장 종목 중 17%에 해당하는 수치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260개, 코스닥시장에서 184개 종목이 각각 신고가를 경신했다. 특히, 코스피 시장에서의 신고가 비율은 29%로, 코스닥 시장의 11%를 크게 초과한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정부 출범 이후, 정책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롯데지주가 9일 기록한 32,300원은 52주 신고가로, 같은 날 대신증권과 부국증권도 각각 26,600원과 46,500원으로 신고가를 기록했다. 신재생 에너지 관련 주식도 호조를 보이며,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4일 58,700원, LS마린솔루션은 12일 34,600원으로 각각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런 흐름은 이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기후 및 에너지 정책 강화를 공약으로 내세운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남북경협 관련주들도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국방부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이 남북 관계 개선 기대감을 증대시켰기 때문이다. 제이에스티나는 10일 3,775원, 아난티는 13일 10,760원을 기록하며 각각 신고가를 새롭게 썼다. 또한 지역화폐 서비스 확대 기대감 속에 코나아이는 9일 86,000원, 카카오페이는 13일 64,600도로 상승세를 이었다.

이달 코스피는 7.3% 상승했으며, 코스닥 지수도 4.7% 오르는 등 전반적으로 증시 호조를 나타냈다. 13일 기준으로는 전체 종목의 70%인 1,777개 주식이 긍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했고, 이는 지난달 말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도 정책 수혜주에서 순환매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및 엔터주가 다음 상승 국면의 주자로 진단되고 있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일부 정책 관련 주식의 상승 폭이 커 차익 실현을 고민하는 시점에 도달했지만, 정책 기대감이 여전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내수 부양 및 지배구조 개선을 넘어서 다양한 부문에서 수혜주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외적인 리스크는 여전히 주가 변동성을 확대할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고,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가 임박함에 따라 관세 리스크가 다시 부각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실적 개선의 기대감이 커졌지만, 실제로 유의미한 실적 반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불확실성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