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슨 모우 “온체인 이동, 꼭 매도 신호 아닙니다”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맥시멀리스트인 샘슨 모우가 최근 온체인 거래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단순히 코인 이동이 반드시 매도(signaling a sale)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이에 대한 기존 통념을 타파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냈다.

모우는 비트코인이 지갑 간에 이동할 때, 이를 매도 신호로 간주하여 불필요한 공포에 휩싸이는 투자자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X(옛 트위터)를 통해 “온체인에서 코인이 이동한다고 해서 모두 매도라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으며, 거래소 지갑으로의 이동 또한 다양한 이유—내부 조정, 자산 재배치, ETF 리밸런싱, 보안 목적 등—때문일 수 있음을 설명했다.

그는 “이동을 매도로 해석하는 분석가들의 주장에 귀 기울인다면, 비트코인을 보유할 자격조차 없다”라며 일부 투자자들을 풍자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해석이 투자자들에게 불필요한 공포, 불확실성, 의심(FUD)을 자아낼 뿐이라고 경고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종종 콜드월렛에서 핫월렛으로의 이동이나 거래소 입금이 반드시 매도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샘슨 모우는 지난 몇 년간 비트코인이 장기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견해를 여러 차례 밝혔다. 그는 과거 BTC가 100만 달러(약 13억 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최근에는 1코인당 1,000만 달러(약 134억 원)라는 놀라운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비트코인 공급량이 2,100만 개로 한정되어 있으며, 유통되고 있는 물량이 이미 1,992만 개에 이른다는 사실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수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그는 금 시장의 조정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단기 차익을 위해 암호화폐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설명했다. 이는 결국 비트코인이 고점에 도달하는 속도가 늦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우의 본 주장은 시장 데이터 해석의 맥락과 경험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일깨워준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의 경우 고변동성 자산이기 때문에, 단순한 수치 해석으로 결론을 짓는 것만으로는 수익 기회를 잃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발언은 비트코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투자자들이 좀 더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