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이용, 남성 비율이 여성보다 월등히 높아… 성별 편차 우려 커져

[email protected]



최근 연구에 따르면,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의 사용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더 활발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성별 격차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기술 발전에 성별 편향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하버드대 경영대학원과 UC버클리 하스경영대학원에서 진행된 이 연구는 총 18개의 실증 및 학술 연구를 종합 분석하였으며, 참여자는 약 13만3000명에 이른다. 연구 결과, 2022년 11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챗GPT의 월 평균 이용자 2억 명 중 남성이 58%, 여성이 42%라는 수치가 나타났다. 또한 다른 AI 생성 플랫폼에서도 비슷한 비율이 확인되었으며, 퍼플렉시티에서는 여성 사용자가 42.4%, 클로드의 경우 31.2%로 저조한 수치를 기록했다.

스마트폰 기반 앱 사용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점이 두드러졌다. 해당 기간 동안 챗GPT 앱을 다운로드한 여성의 비율은 27.2%에 불과하며, 퍼플렉시티와 클로드에서도 유사한 여성 비율이 관찰되었다. 코닝 교수는 이와 같은 현상이 선진국뿐 아니라 인도, 브라질, 케냐와 같은 저·중소득 국가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다양한 목적에 특화된 AI 도구들에서도 남성 사용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2022년 8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약 3800개의 AI 툴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평균 방문 비율이 34.3%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전체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생성형 AI를 활용할 확률이 약 20%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박사 과정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성별 차이가 21%포인트, 대학생과 기업가 집단에서도 최대 31%포인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여성 응답자들은 생성형 AI 사용이 오히려 자신의 업무 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현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식은 여성들이 AI 활용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코닝 교수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생성형 AI를 활발히 사용해야 AI 기술이 성별 중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만약 남성이 주된 사용자가 된다면 이는 성별 편향과 고정관념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생성형 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만큼, 성별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따라서 기술 개발 과정에서 모든 성별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참여가 요구되며, 이는 향후 AI 기술의 진화에 필수적일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