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산업, 구조조정 본격화…자구책 마련 요구

[email protected]



공급 과잉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석유화학 산업이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금융위원회는 석화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위해 자구책과 공급 감축 계획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으며, 채권금융기관들이 공장 통폐합과 같은 구체적인 감축 방안을 제출한 업체에 한해 만기 연장 및 유동성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부는 자구책 미비를 지적하며 석화기업이 실제로 실행 가능한 감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현재 석유화학 산업이 직면한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쟁력 약화라는 난제 해결을 위해 금융권도 구조 개편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17개 은행과 4개 정책금융기관,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협력하여 산업 구조 혁신을 위해 마련된 자율 협의회의 일환이다.

석화업계에 따르면, 한화솔루션, 롯데케미칼 및 HD현대케미칼 등 국내 주요 석화기업이 금융기관에 빌린 총 여신은 약 32조8000억 원에 달한다. 이런 대규모 자금이 동원된 배경에는 기업들이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기를 바라는 채권단의 압박이 있으며, 정부 역시 석화기업이 제출한 자구책의 실효성을 면밀히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업계는 채권단 지원 요건이 지나치게 까다롭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부 화학업계 관계자는 “구조조정 계획 제출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현재의 업황과 여건을 고려할 때, 기업들이 자구안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전했다. 정부는 연말까지 성과를 요구하면서 석화업계의 자율적 대응을 촉구하고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지원이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강조하고 있다.

구체적인 구상안은 채권은행이 주도하는 자율협의회를 통해 외부 회계법인의 실사를 거쳐, 산업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업 재편 계획과 금융 지원 방안이 포함된 구조 혁신 약정이 체결된다. 정부는 이와 앞서 2조 원 규모의 한국산업은행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통해 자금을 지원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정책금융기관을 활용한 추가 지원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자구책 마련과 구조조정 진행이 시급하다. 정부와 금융권의 협력에 따라 석화업계의 현황 개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