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 보유량 기준으로 세계 최대 상장기업인 스트레티지(Strategy)가 최근 비트코인 매수 속도를 2021년 수준으로 급감시켰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주 수천 BTC를 사들이던 공격적인 매입 전략이 뚜렷하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여전히 기업의 비트코인에 대한 장기적 확신이 두텁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크립토 애널리스트 Maartunn은 최근 리포트에서 스트레티지가 지난주에 매수한 비트코인 수량이 고작 196 BTC에 불과했고, 총 지출액은 약 2,211만 달러(한화 약 307억 원)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2024년 말 기준으로 하루에 5만 5,500 BTC를 매입했던 과거와 비교하면 상당한 감소폭을 보인다. 올해 들어 스트레티지가 지금까지 총 195억 3,000만 달러(약 27조 1,545억 원)를 투입했으며, 이는 지난해에 기록한 217억 6,000만 달러(약 30조 2,735억 원)에 비해 다소 줄어든 수치이다.
매수 속도가 둔화된 상황에서도, 스트레티지는 현재 전체 유통 중인 비트코인의 약 3.2%를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주식 발행 프리미엄이 208%에서 4%로 감소하면서 자금 조달 환경이 악화된 것이 투자 동력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더구나 스트레티지의 주가는 사상 최고치 대비 약 50% 하락한 반면, 비트코인은 고점보다 16%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 두 자산 간의 괴리도 커지고 있다.
Maartunn은 “스트레티지가 대규모 매집을 더 이상 하지 않지만, 여전히 가격 고점 근처에서 꾸준히 비트코인을 사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은 최근 196 BTC를 BTC당 평균 11만 3,000달러(약 1억 5,707만 원)에 매입했다. 비록 매수 속도가 느려졌지만, 스트레티지가 보유한 비트코인의 미실현 수익은 약 237억 달러(약 32조 9,430억 원)에 달한다.
이러한 전략은 창립자인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제시한 장기 비전과 일치한다. 세일러는 최근 프라하에서 열린 행사에서 “비트코인 게임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유일한 패배”라며, 비트코인이 스트레티지의 재무 전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인터뷰에서 스트레티지가 1조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 자산을 구축하고 이를 연 20~30% 수익률로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과 스트레티지는 여전히 깊은 연결성을 유지하고 있다. 자금 조달 여건 악화와 주가 하락 등 단기적인 압박에도 불구하고, 스트레티지는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한 장기 전략을 변함없이 고수하며 미래 금융 시스템을 주도하고자 하는 청사진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