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통화정책에 대한 비판과 함께 비트코인(BTC)의 장점을 강조한 션 오노 레논(Sean Ono Lennon)의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비틀즈의 전설적인 멤버 존 레넌의 아들인 션 레논은 최근 SNS 플랫폼 엑스(X, 구 트위터)를 통해 “무분별한 화폐 발행이 우리의 사회 문제의 주된 원인”이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비트코인을 제안했다.
그의 발언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그가 보여온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을 다시금 확인시켜준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대규모 부양책과 미국 정부의 무제한 양적완화가 시행되던 시점에서 그는 비트코인을 언급하며 중앙정부와의 단절을 통해 비트코인이 가지는 ‘희소성’에 주목했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현금 지원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션 레논은 이를 “미래 화폐의 위기 신호”로 인식했다.
션 레논은 팟캐스트에서 “비트코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희소한 자산으로 나에게 큰 희망을 준다”고 언급하며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를 드러냈다. 그가 강조한 비트코인의 기본 발행량인 2,100만 개는 기존 법정화폐 시스템이 무한정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점과 뚜렷하게 대비되는 요소로 인식된다.
2023년부터 션 레논은 확고히 자신을 ‘비트코이너(Bitcoiner)’로 정의하며, 자신의 신념을 음악과 SNS를 통해 계속해서 알리고 있다. 그는 #bitcoin 해시태그를 활용하며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닌 금융 시스템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통화정책에 대한 비판이 일상화되면서 비트코인의 가치 또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물가 상승과 같은 경제적 구조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션 레논과 같은 저명한 인플루언서의 발언은 비트코인의 대중적 수용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팬데믹으로 촉발된 화폐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션 레논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비트코인이 신뢰할 수 있는 대안이 된다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존재는 통화정책의 비효율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션 레논의 발언은 이러한 흐름에 더욱 힘을 불어넣고 있다. 그가 제안하고 있는 비트코인이라는 대안은 현재 지배적인 금융 시스템에 대해 재고할 기회를 제시하고 있어, 향후 여론과 정책에 미칠 영향 또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