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의 공동 창립자인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가 대체 불가능 토큰(NFT)과 밈코인을 ‘디지털 쓰레기(digital slop)’로 지칭한 발언이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야코벤코는 소셜 미디어 X(구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이들 자산이 본질적으로 가치를 지니지 않고 있다고 강조하며, 모바일 게임의 뽑기 상자와 다를 바가 없다고 맹비난했다. 그는 사람들이 매년 1,500억 달러(약 208조 5,000억 원)를 모바일 게임에 소비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가치 있는 것으로 판단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즉시 반론을 불러일으켰다. 솔라나 블록체인의 성장을 이끌었던 NFT와 밈코인을 무시했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야코벤코의 주장이 자기 모순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오픈씨(OpenSea)의 최고 마케팅 책임자 아담 홀랜더(Adam Hollander)는 “NFT는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분명히 증명하며, 그 자체로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라고 반박했다. 추가로 한 암호화폐 인플루언서는 “솔라나에서 NFT와 밈코인이 없어진다면, 솔라나는 잊혀진 프로젝트인 테조스처럼 몰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유저 커뮤니티는 “콘텐츠 소비 행위 자체에도 가치가 있다”는 의견을 내며, NFT와 밈코인이 실용성이 부족할지언정 문화적 혹은 감정적 가치는 분명히 존재한다고 반박했다. 이러한 여론이 확산되자, 야코벤코는 자신의 의도가 NFT나 밈코인을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을 왜곡하는 자들에 대한 경고였다며 입장을 수정했다. 그는 “시장 구조를 혼란에 빠뜨리는 자들은 차라리 사라져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며, 정직한 생태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야코벤코는 시스템 엔지니어 출신으로, 솔라나의 기술 성능과 확장성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 조작과 과도한 과대광고에 대한 근본적인 피로감이 그의 발언의 배경이었을 것이라는 해석이 존재한다. 그는 지속적으로 규제의 명확성과 공정한 거래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일깨워왔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의견 차이를 넘어, 암호화폐 산업의 근본적인 질문으로 나아가고 있다. 디지털 자산의 가치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실용성인가, 투기성인가, 혹은 소유 그 자체인가? 현재 약 1,040억 달러(약 144조 5,600억 원)의 시가총액을 자랑하는 솔라나는 뛰어난 거래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 그리고 활발한 밈 문화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지만, 앞으로 어떤 요소가 이끌어갈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결국, NFT와 밈코인에 대한 논의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암호화폐의 정체성과 미래를 둘러싼 지속적인 대화의 일환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