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건, 두 번 이상 사용하지 마세요”…깨끗해 보여도 세균 가득

[email protected]



욕실에서 사용된 수건은 외관상 깨끗하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균이 빠르게 증식하기 쉬운 장소로 지적되었다. 전문가들은 수건을 한두 번 사용한 후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건강을 지키고 세균의 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레스터대학교의 프리머로즈 프리스톤 교수는 “샤워하고 난 뒤 피부의 수분을 닦을 때, 수건에 각질과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옮겨 간다”며, 이는 오히려 청결을 도와야 할 수건이 세균의 확산을 촉진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욕실 환경이 따뜻하고 습하여 세균 번식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고 설명하며, 특히 수건은 신체의 대부분에 접촉하기 때문에 미생물에 오염될 위험이 크다고 밝혔다.

실제로, 한국분석시험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 한 번만 사용한 수건에서도 세균 수가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 후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미생물 집락 형성 단위(CFU)가 57만에 달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세 번 사용한 뒤에도 CFU 수치는 15만2500으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수건으로 피부를 닦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 옮겨붙게 된다”며, 세균 증식이 이루어진 수건의 재사용은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탁 시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프리스톤 교수는 “수건은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해야 대부분의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강조했으며, 이러한 고온 세탁이 바이러스의 활동 억제는 물론 세탁 후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막아준다고 덧붙였다. 수건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도 중요하며, 시원하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조언이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병원의 감염병 전문의 크리스 반 툴레켄도 세균 감염 예방을 위해 고온 세탁을 권장했다. 그는 평균 세탁 온도인 40도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한다고 경고하며, 감염병 환자와 함께 생활할 경우에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에 따라 60도 이상의 세탁 기준과 세제를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따라서, 수건의 위생 문제를 간과하지 말고 가급적 매 사용 후 즉시 세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세균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고, 일상에서 마주할 수 있는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