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곡선 평탄화, 비트코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email protected]



최근 채권 시장에서 나타난 ‘수익률 곡선 평탄화’ 현상이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를 시사함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BTC)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수익률 곡선이 급격히 평탄화됨에 따라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비트코인의 단기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9월 10일, 바이낸스 리서치는 X(전 트위터)를 통해 미국의 고용지표 약화와 인플레이션 완화가 투자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이들은 특히 장단기 금리차의 축소가 경기 침체의 전조로 간주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10년물과 2년물 수익률 격차가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는 주에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라 금리와 인플레이션 흐름이 다시 시장을 뒤흔들지는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일부 암호화폐 투자 전략가들은 알트코인 시장의 최근 반등이 ‘유도된 착시’일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가명 트레이더 닥터 프로핏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반등이 매크로 이벤트(CPI 발표, 미 연준 회의 등)에 앞서 개미 투자자들을 유입시키려는 ‘분배 함정’일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이는 ‘비트코인 우위 강화’ 주장을 지속해 온 인투더크립토버스의 창립자 벤자민 코웬의 견해와 일치하는 부분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코인게코(CoinGecko) 기준 111,581달러(약 1억 5,522만 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기준으로 0.8% 하락했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0.5%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8월에만 8.6% 하락했으며, 이는 8월 14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124,457달러(약 1억 7,306만 원) 대비 약 10% 낮은 수준이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110,000달러(약 1억 5,290만 원) 선이 중요한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상승세로 전환될 경우 11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를 돌파할 시 116,000~117,000달러(약 1억 6,124만~1억 6,263만 원) 구간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그 이상의 가격대에서 매도 압력이 두드러진다고 알려진 만큼,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온체인 데이터는 비트코인이 실수요보다는 투기적 수요에 의해 주로 움직이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래 투자자(1000 BTC 이상 보유)가 매도세로 전환하고 있는 가운데, 100~1000 BTC를 보유한 중형 투자자 지갑의 숫자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네트워크 활동이 둔화되며 활성 지갑 수도 줄어드는 등 ‘순환매’보다 ‘탈출형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비트코인은 변동성 확대와 유동성 부족이라는 이중의 부담에 직면해 있다. 이런 환경에서는 기술적 지표보다도 채권 시장의 신호와 경제 지표가 가격 흐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주 예정된 CPI 발표와 연준 회의는 비트코인의 미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