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미국의 39% 폭탄 관세 부과에 당혹”

[email protected]



미국이 스위스에 대해 31%에서 39%로 증가된 고율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스위스는 큰 충격에 빠졌다. 이 결정의 배경에는 스위스가 미국과의 상품수지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가 있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스위스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가 연간 400억 달러(약 56조 원)에 달하는 상황을 ‘절도’에 비유하며 이를 시정할 조치를 요구했다. 그러나 스위스 측에서 제안한 해결방안이 없자, 트럼프 대통령은 격노했으며 이로 인해 스위스에 8월 7일부터 39%의 상호관세가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결정은 스위스에 unfavorable한 상황을 초래할 전망이다. 만약 이 조치가 시행되면, 스위스는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과의 관세율이 15%에 불과한 것과 비교해 훨씬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된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통화에서 상품수지의 적자 문제에 집중하며 서비스나 외국 투자에 대한 스위스 측의 협조 제안은 무시한 것은 스위스 측의 예상을 벗어났다”고 전했다.

사실 양국의 실무진은 이미 7월 초에 무역 합의 초안을 만들었고, 스위스 정부뿐만 아니라 미국 재무장관과 무역대표도 이 안에 동의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은 단순한 형식으로 간주되었으나, 스위스 측은 이 점을 오판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스위스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마지막 통화까지 어떤 합의도 완료되지 않았다는 현실을 깨달았다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스위스의 대미 수출에서 60%를 차지하는 제약 산업은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약값 인하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어 스위스 제약업계는 이중 고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합의안 초안에는 스위스 주요 제약사들이 미국에 의약품을 수출할 때 관세를 면제해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미국 무역 대표는 스위스산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함께 의약품 미국 내 생산 유도를 위한 정책을 명시했다.

미국에서 스위스산 고급 시계를 판매하는 기업과 소비자들도 큰 충격에 빠졌다. AP 통신에 따르면 스위스 시계 산업은 이번 39%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고 놀라운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 고급 시계를 착용해왔고, 그와 그의 가족은 스위스 시계에 대한 애정이 크지만, 예상되는 관세 부과가 미국 내 소매가격을 12%에서 14%가량 인상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위스는 이제 대미 무역에서의 새로운 도전 과제를 마주하게 되었으며, 향후 어떻게 대응할지에 따라 그 경제적 장기적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스위스가 트럼프 행정부와의 무역 협상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는 앞으로의 관심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