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프로토콜 스카이(Sky)가 탈중앙화 파생 상품 거래소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자사의 USDH 스테이블코인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제안은 하이퍼리퀴드가 USDH의 출시와 운영을 맡길 파트너를 공개 모집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스카이는 이로써 다섯 번째 입찰자로 참여했다.
스카이의 공동창립자인 루네 크리스텐센(Rune Christensen)은 개인 SNS를 통해 이번 제안을 설명하며, 스카이가 보유한 기술력과 자원을 활용해 높은 수익률을 지닌 맞춤형 스테이블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카이를 통해 USDH를 구축하게 된다면, 기존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와는 비교할 수 없는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스카이는 과거 메이커(Maker)로 알려졌으며, 현재는 USDS(USDS)와 다이(DAI)라는 두 개의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고 있다. 이들 스테이블코인은 각각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규모로, 총 발행액은 약 125억 달러(약 17조 3,75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카이의 USDH 제안은 하이퍼리퀴드가 진행한 공개 입찰에 참여한 최소 네 개 프로젝트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크리스텐센은 하이퍼리퀴드 플랫폼 내에서 USDH를 예치할 경우 연 4.85%의 수익률을 제공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현재 미국 국채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준이다. 또한, USDH는 스카이의 또 다른 스테이블코인인 USDS와 호환되며, 이 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연 4.75%의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USDH는 레이어제로(LayerZero)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돼, 네이티브 멀티체인 기능을 갖춘 것이 큰 특징이다.
스카이는 또한 미국의 장기 규제안인 GENIUS 법안과의 준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이퍼리퀴드의 커뮤니티가 어떤 프로젝트와 협력하게 될지는 아직 미정이며,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협업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및 파생 상품 생태계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이번 제안은 스카이가 하이퍼리퀴드와의 협업을 통해 탈중앙화된 디지털 자산 환경에서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할 기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스카이는 향후 스테이블코인 생태계를 더욱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파트너십의 성과는 향후 크립토 생태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