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서울 강남의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온체인 심포지엄에서 스테이블코인이 국경 간 결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발표가 있었다.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결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금융 포용성을 증진시키는 차세대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비자, 아발란체, 헤데라, 스텔라 등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업 관계자들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확장 및 혁신 전략을 공유했다.
패널토론의 좌장을 맡은 저스틴 김 아발란체 아시아 총괄은 스테이블코인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정애 비자 시니어 디렉터는 최근 USDC 기반 결제 파일럿 프로그램의 성과를 발표하며, 이 프로그램이 결제 정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했음을 설명했다. 정 디렉터는 “이번 파일럿에서는 전통적인 법정화폐 대신 USDC를 활용하여 정산을 진행했다”며, 발급사의 현금 유동성이 증가하고 가맹점의 유동성도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외환 수수료 절감 효과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USDC 활용은 초기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아발란체 및 스텔라 등 다양한 체인과 자산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자는 몇 년 전부터 암호화폐와 연계된 카드 상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또한 온체인 애널리틱스 대시보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현황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이 리테일 영역에서의 사용 비중은 1% 미만으로 보이며, 이는 초기 단계에 지나지 않지만 그만큼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이 정 디렉터의 주장이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결제 혁신을 위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고, USDC를 활용하면 전통적인 신용카드 결제 방식보다 훨씬 빠르게 거래를 완료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앨리스 김 헤데라 디렉터는 스테이블코인의 프로그래머블 머니로서의 가능성과 규제 대응 방안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그는 불필요한 비효율성과 수작업 절차를 줄이는 데 스테이블코인의 역할이 크다고 말하며, 한국의 시범 사례를 통해 이미 은행들이 참여하여 그 잠재적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헤데라의 규제 친화적 인프라 또한, 39개 글로벌 기업으로 구성된 거버닝 카운슬이 투명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고 덧붙였다.
셈 아르칸 스텔라 파트너십 디렉터는 스테이블코인이 신흥국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간주하고, 국경 간 송금과 거래에서의 핵심적인 기능을 강조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이 다양한 국가의 결제 인프라를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여, 접근성과 상호운용성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경제 환경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시장의 잠재력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었다. 정 비자 디렉터는 한국이 디지털 친화적이고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큰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앨리스 김 디렉터는 대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채택이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체인 심포지엄은 블록체인과 전통 금융의 융합을 통해 온체인 금융 전략을 제시하는 자리로,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새로운 온체인 인프라가 제도권 금융에 통합되는 경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