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은 중앙은행이 발행하지 않았지만, 그 가치가 달러에 연결되어 있어 물리적인 통화와 다르면서도 큰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토큰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총 시가총액은 2600억 달러에 달하며, 테더(USDT)는 미국 국채 보유 상위 20위에 포함되며, 서클(USDC)은 미국의 인가를 받아 상장까지 마친 상태이다. 암호화폐로 분류하기에는 이미 그 존재감이 상당하다.
하지만 이러한 대규모의 유동성이 과거에는 현실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의 93% 이상이 거래소 간 유동성 조정에만 쓰이며, 이로 인해 소비, 대출, 임금과 같은 실물 경제 활동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현재 시장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량과 비트코인 가격 간에는 명확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테더가 대량으로 발행되면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반해 공급이 줄어들면 비트코인이 하락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시장 반응이 아니라, 디지털 자산 내에서 유동성이 주입되고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부터가 더욱 중요한 변화의 신호다. 스테이블코인을 실물 결제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 기업들은 급여 지급, 해외 송금, 그리고 쇼핑 결제 시스템에서 ‘토큰화된 달러’를 도입하려 하고 있으며, 월가에서는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3.5조 달러의 예치금을 아예 토큰화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만약 스테이블코인이 실제 경제의 소비와 지출로 이어진다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준이 통화량을 조절하려 해도 민간에서 발행된 토큰이 시중에 유통된다면, 금리 정책의 효과가 희석될 수밖에 없다. 이는 중앙은행의 체계 밖에서 유동성이 자유롭게 순환하는 새로운 인플레이션 경로가 만들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통적으로 우리가 아는 인플레이션은 인쇄기에서 시작되었지만, 앞으로는 인쇄기없이 블록체인 위의 숫자만으로도 자산 가격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 뜻은 다가오는 인플레이션이 블록체인으로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스테이블코인은 아직은 조용한 존재이다. 그러나 이 조용함은 무해함이 아닌, 시장 구조의 변화 신호일 수 있다. 정책 당국은 이러한 흐름을 단순한 기술의 진화로만 여기지 말아야 한다. 스테이블코인은 통화의 경계를 넘어가고 있으며, 그 끝자락에는 인플레이션이 도사릴 수 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이 조용히 문을 두드리고 있는 상황이지만, 그 문이 열리는 순간 우리는 완전히 다른 물가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는 지금 이 노크 소리를 경청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