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거래소에서 ‘USD’로 통합될 가능성…업계 변화 예고

[email protected]



최근 스테이블코인들이 거래소에서 독립적인 가격 표기를 상실할 수 있다는 예측이 제기되었다. 이는 미국 달러와 1: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현 상황에 기인한다. RPC 노드 인프라 제공업체 헬리우스(Helius)의 CEO인 머트 뭄타즈(Mert Mumtaz)는 앞으로 대부분의 거래소가 다양한 스테이블토큰들을 백엔드에서 통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사용자에게는 단일한 ‘USD’라는 옵션만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예측은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플랫폼의 스테이블코인 ‘USDH’를 둘러싼 ‘수익 전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이퍼리퀴드 생태계에 속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100% 수익을 되돌려주겠다는 조건을 내세우며 경쟁에 나섰고, 이로 인해 뭄타즈는 스테이블코인이 사실상 상품화되어 더 이상 명확한 차별점이 없는 상태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에도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뭄타즈는 앞으로 많은 기업들이 독자적인 스테이블코인을 별도로 발행하고, 기존 발행자들 또한 자체 결제 시스템을 출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는 유동성이 분절되는 결과로 이어져 자본이 내부 생태계에 고립되는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다수의 스테이블코인이 난립하는 상황은 거래소 간의 통합 필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달러 연동을 주장하는 다양한 토큰들이 가격 표시면에서 통합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떤 스테이블코인을 선택하느냐보다 얼마나 안정적으로 ‘USD’의 가치를 보장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결국, 스테이블코인의 시장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 경험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할 때 가장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결국 그 안정성과 신뢰도이며, 이는 앞으로의 거래소 운영 방식과도 밀접하게 연결될 것이다. 따라서 업계 관계자들은 스테이블코인이 단일한 ‘USD’ 옵션으로 통합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신중히 살펴봐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