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네오뱅크의 부상과 기업들의 경쟁 심화

[email protected]



스테이블코인 기반 네오뱅크가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규제의 안정성과 인플레이션 방어 수요를 바탕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네오뱅크라는 새로운 금융 생태계가 열리고 있다. 기존의 네오뱅크가 모바일 중심의 무점포 은행인 반면, 스테이블코인 네오뱅크는 법정통화에 1:1로 연결된 스테이블코인을 기본 자산으로 활용하여, 예금, 카드 사용, 송금, 저축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24시간 결제 가능성과 저비용 송금, 인플레이션 헤지 기능을 통해 신흥국과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플라즈마(Plasma)는 9월 ‘플라즈마 원(Plasma One)’을 출시하며 “세계 최초의 스테이블코인 네이티브 네오뱅크”로 자리 잡았다. 사용자는 실물 및 가상 카드를 이용해 150개국 1억 5000만 개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고, USDC 및 USDT를 통한 즉시 송금과 최대 10%의 예금 수익을 누릴 수 있다. 플라즈마는 특히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서비스망을 확장하고 있다.

또 다른 선두주자인 맨틀(Mantle)은 7월 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온체인 네오뱅크 UR을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스위스의 다중통화 계좌와 데비트카드, DeFi 연동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로 “Revolut + DeFi”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슬래시(Slash) 역시 10월에는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SL 기반의 Global USD 계좌를 공개하며, Circle USDC와 미국 국채 MMF를 담보로 한 안정성 있는 금융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기업 고객에게는 수수료 0% 송금과 4.5% 수익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글로벌 송금 업계의 대명사인 Western Union은 10월 솔라나(Solana) 기반 USDPT 스테이블코인을 발표하며, 40만 개의 지점을 활용한 현금-디지털 온오프램프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네오뱅크에 참여함에 따라, 시장은 빠르게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다.

후발주자로 홍콩의 RedotPay, 프랑스의 Deblock, 유럽의 Gnosis Pay, 아프리카의 Yellow Card, 그리고 남미의 Belo 및 DolarApp 등이 속속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이들은 각 지역의 통화 불안과 송금비용을 겨냥해 스테이블코인 지갑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국에서는 Crypto.com과 Coinbase가 Visa 및 Amex 카드에 스테이블코인 보상을 도입하며 “스테이블코인 소비경제”를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테이블코인 네오뱅크의 확산은 미국 GENIUS Act와 유럽 MiCA, 홍콩의 Stablecoin Ordinance 도입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규제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글로벌 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었다. Stripe가 인수한 Bridge와 Rain 등의 결제 인프라 기업들은 화이트라벨 카드와 지갑 API를 제공해 스타트업들이 몇 주 만에 스테이블코인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글로벌 네오뱅킹 시장 규모는 2024년 1,760억 달러에서 2025년 2,614억 달러로 급증하며 연평균성장률(CAGR)이 48.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9년에는 1조 2,19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스테이블코인 네오뱅크가 글로벌 금융 산업 재편의 중추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스테이블코인 네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