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미국 국채 시장의 판도를 바꾸다 – “달러의 디지털 쌍둥이”로 차별화된 글로벌 금융 환경 구축

[email protected]



스테이블코인은 더 이상 암호화폐 시장의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되지 않는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이미 미국 국채 시장에서 ‘비공식 투자자’로 자리 잡았으며, 앞으로 글로벌 금융 안정성의 중요한 변수로 기능할 것이라는 경고를 하고 있다.

보고서에 의하면,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와 서클(USDC)가 보유한 미국 단기국채 규모는 2025년 2분기 기준으로 1,776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전체 미국 국채 발행잔액의 0.6%에 해당한다. 이러한 규모는 벨기에, 캐나다, 아일랜드와 같은 주요 해외 보유국들과 견줄 수 있는 수준으로, 사실상 테더와 서클은 국가 단위의 채권 보유자들로 변화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2024년 말 기준으로 테더의 국채 보유액은 945억 달러에 이르러 중견국 수준으로 평가된다. 이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미국 단기 국채 수요의 중요한 축이 되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는 미국 재정 조달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국채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로를 열고 있다는 점에서 양면성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은 2024년 미국 의회에서 통과한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GENIUS) Act’와 관련이 깊다.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결제용 디지털 자산’으로 정의하고, 발행 주체를 은행 및 신용조합, 비은행 금융사까지 확대하는 등 제도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미국 내 규제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달러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송금과 결제 시장에서 급속히 확산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송금 거래의 43%는 이미 스테이블코인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통화가 불안정한 신흥국에서는 채택률이 더욱 높다.

스테이블코인의 유동성 공급 기능은 국제 자금 흐름의 재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데이터 분석 결과, 스테이블코인의 송금 흐름은 북미와 아시아 간의 양방향 거래에 집중되고 있으며,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필리핀, 터키 등 고인플레이션 국가에서 법정화폐 대신 USDT를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적인 외환 관리와 통화 정책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있으며, 신흥국에서의 통화 대체 현상을 예고하고 있다.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2030년까지 미 달러의 유통량이 연 6% 증가하고 스테이블코인의 침투율이 10%에 도달한다면 스테이블코인 관련 국채 수요는 약 2조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 외국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금액의 약 4분의 1 규모로, 미국 정부의 단기 부채 조달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보고서는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세 가지 위험 요소도 경고하고 있다. 첫째는 시장 금리 전이 리스크로, 스테이블코인의 대량 매도 시 단기 국채 금리가 급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둘째는 시스템 리스크로, 대규모 디페깅 사태가 발생할 경우 국채와 머니마켓펀드, 레포 시장에 연쇄적인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셋째는 통화 대체 및 세수 유출 우려로, 신흥국들이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준통화로 채택하게 되면 자국의 통화 정책과 세수 기반이 훼손될 위험이 있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이러한 위험 요소들을 대비하기 위해 투명성 강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