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사용 증가…암호화폐, 실용성 중심으로 전환 중

[email protected]



스테이블코인은 이제 암호화폐의 주류로 자리잡으면서 사용자들은 이를 이념적인 자산이 아닌 실제 생활의 편리함을 위한 도구로 보고 있다. 2025년 3분기에는 테더(USDT)와 서클의 USDC가 전체 암호화폐 거래량의 약 40%를 차지하며, 특히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신흥국 사용자들 사이에서 국경을 넘는 저렴하고 신속한 송금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들 지역의 사용자들은 암호화폐를 일상적인 재정 활동에 활용하며, 이상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생활 용도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예를 들어, 송금 수요가 높은 필리핀에서는 암호화폐 사용률이 1년 만에 17.8%에서 22.5%로 증가하였다. 특히 250달러(약 34만 원) 이하의 소액 이체가 늘어나면서 장보기, 생활비 지급, 등록금 납부 등의 다양한 실용적인 용도로 꾸준히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체인널리시스에 따르면 인도, 파키스탄, 베트남, 브라질에서도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암호화폐 채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이 흐름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새로운 사용자층의 등장으로 기존 암호화폐의 보안 패러다임이 도전을 받고 있다. 아직까지 많은 사용자들이 중앙화된 거래소의 지갑이나 친구 간의 신뢰 기반 복구 시스템에 의존하여, ‘셀프 커스터디’의 복잡함을 피하고 있다. 예를 들어, 60달러(약 8만 원) 정도의 소액을 송금하는 사용자에게 시드문구를 잊는다면 자산을 모두 잃을 수 있다는 점은 실사용에 큰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보안 설계를 제품에 자연스럽게 녹여내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시드문구를 제거하고, 소셜 복구 방식이나 하드웨어 연동 방식으로 사용자 책임을 분산시키는 실험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의 보안은 기술 숙련도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UX)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은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더욱 덧붙여지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보유한 사용자는 약 1억 6100만 명에 달한다. 이는 세계 최대 도시 10곳의 인구를 합한 것보다도 많아, 이제 이들은 암호화폐를 ‘은행 없는 송금’, ‘저렴한 결제’, ‘모바일 머니’의 연장선으로 보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암호화폐의 미래는 이러한 새 사용자층의 실용성과 접근성 요구에 얼마나 잘 반영되는가에 달려 있다. 더 나은 사용자 경험(UX), 기본적인 보안, 그리고 명확한 복구 수단은 필수적이며, 고유한 구조에만 의존하는 접근법은 이제 한계를 맞고 있다. 따라서 스테이블코인의 보급은 암호화폐가 전 세계 자금 이동의 중심 기술로 자리잡기 위한 기회이자 시험대가 될 것이며, 실용성을 중심으로 한 기술 진화 없이는 현재의 채택 열기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