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블록체인과 금융의 관계에서 스테이블코인(Steady Coin)은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존재로 자리잡고 있다. 2025년에는 스테이블코인이 퍼블릭 블록체인의 수많은 트랜잭션(60~90%)을 차지하면서 블록체인 본래의 약속으로 여겨졌던 ‘저렴하고 자유로운 송금’의 이상이 무너지고 있는 상황이다. 네트워크의 과부하로 인해 가스비는 급등하며, 많은 사용자와 기업들이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송금 요청이 폭증하면서 트론과 이더리움 같은 범용 블록체인들은 상당한 리소스를 소모하게 되었고, 이는 혁신을 저해하는 구조적 한계를 발생시켰다. 사용자들은 가스비가 소액에 불과해도, 수십억 건이 쌓이면 전체 비용은 엄청난 규모로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스테이블코인의 장점인 저렴한 가치 이전을 무력화시키고 있다. 더불어 거래소 입출금이나 체인 간 자산 이동과 같은 과정에서의 복잡디체도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어, 일반 사용자들은 불편한 인프라에 갇혀있는 형국이다.
그런데 이제 시장의 관심은 단순히 빠른 블록체인 경쟁에서 벗어나, 효율적인 전용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플레이어가 누구인가로 바뀌고 있다. 범용 블록체인 대신 특정 목적에 최적화된 전용망(Purpose-Built Network)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스테이블코인 트랜잭션 속도를 극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미래의 경쟁은 크게 두 가지 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송금을 위한 초고속 네트워크 USDT Plasma와 USDC Arc와 같은 프로젝트들이다. 이들은 사용자에게 무료 송금도로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것이다. 두 번째는 Ubyx와 Namsan과 같은 글로벌 금융 허브 네트워크이다. 이들은 은행, 거래소, 핀테크를 연결하여 효율적인 정산 과정들을 지원하면서 확장성을 갖춘 인프라를 기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블록체인이 단순히 기술적 혁신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일상과 금융 기관에게도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개인은 국경 없는, 실시간 무료 송금을 경험하게 되고, 기업은 글로벌 급여 지급 및 공급망 대금 결제를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금융기관 또한 수십 년간 존재해 온 외환 및 증권 결제 시스템을 대체할 저비용 고효율의 새로운 인프라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결국, 향후 3년간 스테이블코인 트랜잭션의 미래는 단일한 승자가 아닌, 다층적 구조(Multi-layered)로 재편될 것이다. 송금과 교환 및 정산의 영역에서 나뉜 승자들은 네트워크 효과, 규제 준수 및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함으로써 차세대 디지털 금융의 새 표준을 정립할 것이다. 블록체인과 전통 금융이 진정으로 융합되는 시대, 진짜 스테이블코인의 미래는 이 새로운 인프라 위에서 탄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