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새로운 통화의 가능성

[email protected]



최근 NH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통화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스테이블코인은 특정 실물 자산에 연동된 암호화폐로, 대표적으로 테더(USDT)가 미국 달러에, 그리고 유로와 금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은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적어 결제 및 송금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의 기작을 19세기 중반의 미국 자유은행 시대와 비교하여 설명했다. 당시 민간 은행들은 금을 담보로 하여 자체적으로 화폐를 발행했으며, 연방준비제도(Fed)가 출범한 이후보다 인플레이션이 낮았던 점을 지적했다. 이러한 경쟁적 요소가 담보 자산의 안정성과 발행량 조절을 유도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테이블코인도 발행 주체들 간의 경쟁이 인플레이션 억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제를 갖출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는 자산 담보에 대한 신뢰가 유지되고, 과도한 발행이 없다는 전제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경제적 관점에서 스테이블코인은 화폐 유통 속도를 높이고 결제의 효율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거래 수수료가 줄어들고 결제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전통적인 화폐 수량 이론에서 경제 활동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스테이블코인이 은행 예금을 대체할 경우 화폐 승수가 낮아져 전체 통화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으며, 이로 인해 명목 GDP의 변동성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이런 흐름은 최근 미국 정부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법안을 통과시킨 것과 관련이 있다. 한국에서도 원화를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코인을 추진해야 한다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의 강화와 자국 통화의 디지털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중앙은행이 주도하는 디지털화폐(CBDC)와 스테이블코인의 차별성과 공존 방안도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결국,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은 암호화폐 시장의 투기적 측면을 넘어 실물 경제와 연결된 화폐 시스템의 혁신을 밀고 나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각국 금융당국이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편입시키는 방법에 따라 국제金融秩序의 균형도 변화할 것이며, 이는 앞으로 통화 시스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이 경제 전반에 미칠 긍정적인 효과를 키우기 위해서는 정부와 금융기관의 적절한 관리 및 감독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