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텔라(XLM)는 가격 하락 속에서도 거래량이 무려 115% 급증하며 반등 신호를 보이고 있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자료에 따르면, 스텔라의 24시간 거래량은 약 4억 220만 달러(약 5,576억 원)에 달하는 반면, 가격은 2.22% 하락하여 0.3961달러(약 550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일중 최고가인 0.4235달러(약 589원)에서 최저가인 0.389달러(약 541원)로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거래량의 급등은 최근 비트코인(BTC)의 강세와 관련이 있으며, 투자자들은 리스크 회피 심리 속에서 자금을 이동시키고 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57.4%까지 상승하면서 알트코인들에 대한 자금 유입이 어두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스텔라는 상대적으로 기술적 반등 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의 RSI(상대강도지수)는 48.19로,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는 최근 ‘골든크로스’가 형성되어 강세의 기미가 보이고 있다.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나타나며 역사적으로 매수 신호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스텔라가 현재의 시장 변동성을 극복한다면 0.50달러(약 695원) 수준을 돌파해 0.60달러(약 834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또한 스텔라(XLM)는 경쟁자인 리플(XRP)와의 관계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과거 리플과 SEC 간의 소송이 끝난 후, 스텔라는 16% 급등한 바 있다. 이러한 법적 리스크의 해소는 투자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앞으로도 유사한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 기대감이 XLM에 긍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반 송금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으며, 스텔라는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스텔라가 실사용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이 확장될수록 장기적인 가격 상승 동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모여 스텔라(XLM)의 향후 전망을 밝게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