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XLM), 골든크로스 신호로 주목…비트코인·이더리움보다 높은 수익률 기록

[email protected]



스텔라(XLM)가 최근 강세장 신호로 해석되는 골든크로스를 형성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형태로, 향후 가격 상승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술적 신호로 여겨진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24시간 동안 스텔라의 가격은 4% 이상 상승하며 강한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스텔라 가격은 최저 0.3574달러에서 최고 0.3831달러(약 533원)까지 오르며, 현재는 0.3815달러(약 530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날 하루 동안 5.4% 상승했지만, 여전히 중요한 저항선인 0.40달러(약 556원)를 넘지 못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 상황이다. 지난 30일 동안 스텔라는 고점 0.452달러(약 628원)에서 하락하며 15% 이상의 낙폭을 기록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기술적인 조정 후 본격적인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골든크로스 형성에도 불구하고 주요 저항을 넘지 못한 점은 아쉬운 흐름으로 해석되고 있다.

흥미롭게도, 최근 거래량은 눈에 띄게 증가하여 전일 대비 84.95% 상승한 3억 3,321만 달러(약 4,637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스텔라의 거래 활력이 충분히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그러나 이 같은 거래량의 증가가 아직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은 만큼, 가까운 시일 내에 저항선 돌파에 성공하면 시장의 반응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스텔라가 0.405달러(약 563원) 수준을 넘어설 경우, 0.47달러(약 653원)로의 추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역사적 데이터에 따르면, 3%대의 단기 상승률이 반복될 경우, 0.50달러(약 695원) 회복 전망도 가능하다. 이는 9월 중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으며, 스텔라의 성장이 지속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스텔라가 올해 들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대비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스텔라는 올해 288% 상승한 반면, 비트코인은 88%, 이더리움은 73%의 상승에 그쳤다. 이러한 상대적 강세는 스텔라가 주요 자산으로 다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8월 동안의 시장 불안과 약세 흐름이 종식된다면, 현재의 골든크로스는 향후 랠리의 서막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가격 상승의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결정적인 저항선의 돌파가 필수적이며, 이번 반등 이후 스텔라의 가격 움직임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