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익명의 고래 투자자가 시바이누(SHIB) 약 2억 3,300억 개(약 287억 원) 규모를 거래소 코인베이스에서 입출금하며 신속하게 포지션을 청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거래는 11월 4일 코인베이스의 핫월렛에서 특정 입금 주소로 시바이누 토큰이 이동한 후, 이틀 후 동일한 양이 다시 코인베이스의 운영 지갑으로 되돌아오는 형태로 진행됐다. 흥미로운 점은 외부 지갑이나 디파이 서비스와의 연결 없이 코인베이스 내에서만 이루어진 거래라는 점이다.
이러한 거래는 가격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였다. 해당 거래는 시바이누 토큰 가격이 0.0000087~0.0000090달러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던 정체된 시기에 발생했다. 이 가격대는 현재 SHIB 현물 일일 거래량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로, 단순한 내부 이동일지라도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이다.
이번 거래의 의미를 명확히 해석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외부로의 출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서 기관 수탁 재배치나 유동성 테스트일 가능성이 있으며, 내부 거래의 경우 개인보다 기관 투자자들의 전략적 포지션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래 투자자가 보이는 짧은 시간 내 진입과 이탈의 반복은 시장이 여전히 안정된 매수 신호를 기다리고 있음을 암시한다.
더욱이, 역대 11월은 시바이누의 약세 흐름이 반복되는 시점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4년 중 3년 동안 11월 평균 낙폭이 10% 이상을 기록했으며, 고래 투자자의 대규모 자금 이동이 확인되면서 개인 투자자들도 관망세로 돌아서고 있다. 이러한 정체기 속에서 투자자들은 변화의 물결을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시장에 대한 신뢰 회복과 상승 동력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론적으로, 시바이누는 현재 뚜렷한 상승 동력 없이 정체 국면에 접어든 상황이다. 대형 투자자들조차 짧은 기간 내의 포지션 청산을 반복하고 있어 이는 현재 암호화폐 시장이 여전히 매수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 수비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 시기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시장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