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가 순환 공급량 축소를 목표로 레이어2 블록체인 ‘베이스(Base)’와의 통합을 선언했다. 이번 협업은 단순한 체인 확장을 넘어, 전면적인 공급 감소 메커니즘을 갖춘 ‘버닝 엔진’을 도입해 SHIB 생태계의 디플레이션을 가속화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SHIB 개발팀은 공식 X 계정을 통해 “베이스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버닝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고 밝히며, 이 시스템이 거래 수수료의 일부 또는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SHIB 토큰을 소각한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가격 안정성과 희소성을 함께 확보하는 전략이 추진되고 있다. 실제로, 24시간 안에 6억 SHIB가 크리에이터코인 프로그램을 통해 소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하루 기준 약 820만 원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러한 공급 제한 조치는 최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시장의 불안정 속에서 SHIB의 토큰 가치 방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SHIB는 ‘Zora’ 플랫폼을 활용해 ‘크리에이터 코인’을 통한 수수료 발생을 유도하고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소각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다. SHIB 생태계는 이러한 협업을 통해 지속적이고 탄탄한 유통량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
시장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보도 시점에 SHIB는 0.00001368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으로 소폭 2.32% 하락했지만, 거래량은 약 239만 달러(약 331억 원)로 전날 대비 63% 증가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시장에서는 시바이누를 대량 보유하고 있는 고래 투자자들의 구매 세력이 확대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진다. 현재 전체 유통량의 74%가 상위 지갑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대규모 가격 반등을 기대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공급 축소 메커니즘과 고래들의 매수세가 결합된다면, 시바이누가 다시 상위 20위 암호자산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비록 SHIB가 밈 코인으로 시작했지만, 이번 베이스와의 연계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정교한 경제 모델 실험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시바이누가 밈 코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경로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