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수석 앰배서더 샤이토시 쿠사마(Shytoshi Kusama)가 최근의 논란 속에서 자신이 프로젝트에서 물러났다는 추측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박했다. 그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AI 이니셔티브에 집중한다고 해서 SHIB 개발팀이나 카알 다이양(Kaal Dhairya)과 멀어진 것은 아니다”라고 분명히 밝혔다. 그는 SHIB 생태계의 발전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전체 토큰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쿠사마의 이러한 입장 발표는 지난 주말, SHIB 커뮤니티가 시바리움(Shibarium)에서 발생한 플래시론 공격에 대한 우려와 대책을 논의하던 중에 나온 것이다. 보안업체 펙쉴드(PeckShield)는 이번 공격에서 약 460만 BONE이 남용되었다고 보고하며, 쿠사마의 침묵이 이어지는 동안 커뮤니티 안에서 불안감이 확산된 상황이었다.
해당 공격자는 4.6만 BONE을 대출하여 시바리움 검증자의 키를 여러 개 확보했으며, 이에 대해 시바이누 개발자 다이양은 신속한 대응을 통해 추가 피해를 방지했다고 전했다. 공식 SHIB 채널에 따르면, 이번 공격으로 인해 224.57 ETH(한화 약 4억 3,638만 원)와 926억 SHIB가 손실되었다. 또한 공격자는 KNINE 대량 매도(약 9억 7,300만 원 상당)를 시도했지만, K9파이낸스 DAO의 다중 서명 블랙리스트 조치로 판매가 취소되었다.
이번 사건은 LEASH, ROAR, TREAT, BAD, SHIFU 등 다른 관련 토큰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대부분의 자산은 안전하게 유지되었다. 특히 공격자가 위임했던 BONE 토큰은 검증자에 의해 잠겨 있어 출금이 불가능한 상태로 남아있다.
쿠사마는 발표문에서 “우리는 전투 상황(war room)에 있다”며, 사태 해결을 위한 핵심 팀과의 협력 중임을 강조했다. 그는 추가적인 공식 발표가 SHIB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며, 커뮤니티가 혼란 속에서도 명확한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의 침묵은 SHIB의 5주년 기념 포스트 이후로 약 한 달간 이어졌으며, 이 사이에 그의 역할 변화 및 미래 전망에 대한 여러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공식 발표를 통해 그는 여전히 팀과 함께 프로젝트 재건에 전념하고 있음을 확고히 했다.
이번 사건은 시바이누 생태계가 보안 및 거버넌스 구조 강화가 필요하다는 경고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동시에, 외부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핵심 인사와 기술진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인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