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프로젝트의 핵심 개발자 시토시 쿠사마(Shytoshi Kusama)가 최근 새로운 파트너십을 암시하며 커뮤니티의 기대감을 고조시켰다. 이번 파트너십의 세부 사항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시바리움 생태계 내에서 ‘지능형 인프라’를 중심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개발 작업은 이미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시바이누의 체계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SHIB의 마케팅 담당자 루시(Lucie)는 최근 엑스(X, 구 트위터) 방송을 통해 “시바이누 생태계가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SHIB 알파 레이어의 발전과 함께 ‘트리트(TREAT)’라는 새로운 유틸리티 및 보상 토큰이 생태계의 다음 단계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새로운 알파 레이어는 애플리케이션 특화 환경과 맞춤형 기능,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실질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번 주에는 SHIB 생태계 내 분산형 거래소 ‘포지션(Position)’이 론칭됐다. 이 DEX는 탈중앙 금융(DeFi)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며, 거래, 수익 농사(farming), 커뮤니티 기반 보상 시스템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SHIB가 단순한 밈코인의 범위를 넘어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SHIB 사용자 커뮤니티에서는 소각 전략으로 ‘본(BONE)-SHIB 유동성 풀’의 참여가 강조되고 있다. 커뮤니티 계정인 @Shibizens는 이 풀을 통해 일정량의 SHIB가 세컨드 레이어 기술인 시바토치(ShibTorch)를 통해 지속적으로 소각될 것이라고 의도적으로 알렸다. 이 과정에서 유동성 공급자는 스왑 수수료를 수령하게 되어 거래량과 함께 핵심 토큰인 SHIB와 BONE의 가치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SHIB 생태계의 이러한 변화들은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의존하기보다는 중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적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블록체인 인프라 확장과 실질적인 유틸리티 강화를 목표로 하는 이번 파트너십이 실제로 가시화된다면, 시바이누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서 실용적인 탈중앙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