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생태계가 체인링크(LINK)의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CCIP)을 도입함으로써 자동 소각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SHIB의 핵심 개발자인 칼 다이리야(Kaal Dhairya)는 최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CCIP 버전의 시바이누가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에서 자동으로 SHIB를 소각하도록 설계되었다고 밝혔다.
SHIB는 출시 당시 1경 개의 토큰을 발행했지만, 현재까지 410조 7,521억 9,445만 2,269 SHIB가 소각되었으며, 총 공급량은 589조 2,478억 554만 7,730 SHIB로 줄어든 상태다. 특히, 최근 24시간 동안 377만 2,366 SHIB가 소각되어 하루 기준 소각률이 무려 1,548%로 급증한 사실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강력한 디플레이션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SHIB의 가치를 더욱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이리야는 “SHIB는 항상 이더리움 네이티브 자산으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다른 블록체인에서 SHIB 기반 프로젝트를 개발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CCIP 기반 버전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이 공식 CCIP 버전은 체인링크와 협력하여 개발 및 감사가 이루어졌으며, SHIB뿐만 아니라 BONE, LEASH, TREAT 등 시바이누 생태계의 다른 토큰에도 자동 소각 기능이 탑재되었다.
체인링크의 CCIP는 5월에 솔라나(SOL) 메인넷에 도입되며 v1.6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이 덕분에 SHIB와 같은 CCIP 기반 자산이 솔라나 생태계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또한, SHIB는 CCT(Cross-Chain Token·크로스체인 토큰) 표준을 도입하여 상호운용성 측면에서도 큰 진전을 이뤘다. 이로 인해 SHIB 생태계의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고, 더욱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개발자 다이리야는 SHIB을 기반으로 진정성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다면 반드시 생태계에 기여하라고 강조하였다. 이는 SHIB 개발팀이 단순한 디플레이션 효과를 넘어 지속 가능한 토큰 구조와 건강한 커뮤니티 생태계를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학은 SHIB 생태계가 이전의 밈코인에서 기능적 토큰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시바이누 생태계가 자동 소각 기능과 체인링크 통합을 통해 디플레이션 메커니즘을 강화하며 성장을 이어 나가는 현 상황은, 현대 토큰 설계 분야에서 새로운 벤치마크 역할을 할 것이다. 크로스체인 확장성과 디플레이션 메커니즘이 결합된 이러한 모델은 향후 다른 프로젝트들에게도 유용한 사례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