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바이누(SHIB)에서 지난 9일, 2조 6,000억 SHIB가 중앙화 거래소에서 대규모로 출금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프로젝트 역사상 가장 큰 거래소 출금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으며, 명확한 원인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대량의 자산 이탈은 일반적으로 강세장으로의 전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거래소에서 자산이 이탈하게 되면 시장의 가격 압력이 완화된다. 특히, 대규모 고래나 기관 투자자들이 SHIB를 대량으로 인출했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콜드월렛과 같은 안전한 보관소로의 이전을 뜻하며, 이는 즉각적인 매도 압력을 감소시켜 가격 상승의 여지를 증가시킨다. 공급이 줄어들고 수요가 약간이라도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가격이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트레이딩뷰(TradingView)의 SHIB/USDT 차트를 살펴보면, 현재 가격이 200일 이동평균선(EMA)을 중심으로 변동성이 집약되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현재 SHIB는 0.0000130~0.0000138달러 구간에서 저항선을 시험하고 있으며, 이 구간을 명확히 돌파하게 될 경우 중장기적인 상승의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규모 출금을 단순한 기술적 사건으로 보지 않고, 투자 심리의 전환점으로 간주하고 있다. 2025년 전반기에 걸쳐 SHIB는 극심한 변동성을 나타냈으나, 최근 동향은 투기적 매매에서 ‘자산 축적→장기 보유’ 전략으로의 전환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는 신규 자금의 유입이 정체된 반면, 기존 보유자들의 지속적인 보유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상황은 현재 SHIB의 상승 여력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번 출금이 즉각적인 급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단기적으로는 조정 가능성 또한 존재하지만, 공급의 감소와 수요의 유지 또는 증가가 함께 진행된다면, SHIB는 중장기적으로 더 유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내부의 변화는 단기 투자자뿐만 아니라 장기 투자자에게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이다.
결국, 이번 2.6조 SHIB 출금(약 494억 원 규모)은 단순한 기술적 현상이 아니라 시장 구조 내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SHIB가 한 번 더 ‘밈코인’을 넘어서는 존재로 진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순간으로 여겨질 수 있다. 시장의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앞으로의 SHIB의 행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