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AI를 활용한 댓글 스팸 마케팅으로 커뮤니티 반발 겪어

[email protected]



시바이누(SHIB)의 레이어2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시바리움(Shibarium)이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이 논란은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에서 SHIB 보유자들에게 암호화폐 관련 게시물의 댓글란을 SHIB 관련 언급으로 채워달라는 마케팅 지침을 내린 것에서 시작되었다. 더욱 문제는 인공지능(AI) 툴을 사용하여 자동 생성된 댓글을 반복적으로 게시하도록 권유함으로써 스팸 전략이 부각되었다는 점이다.

커뮤니티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SHIB는 이미 죽었다. 너희도 끝났다”라는 냉소적인 반응부터 “정작 개발은 하지 않고 광고만 한다”는 비판까지 이어졌다. 과거 도지코인(DOGE)과의 경쟁을 통해 높은 위상을 유지해왔던 SHIB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전략은 오히려 위기감을 드러내는 자충수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SHIB의 시장 존재감은 급속히 떨어지고 있다.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SHIB는 현재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 순위에서 3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2021년에는 도지코인을 제치고 시가총액 10위에 오르기도 했으나, 현재는 라이트코인(LTC)이나 톤(TON)보다도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2021년 이 시점에서 SHIB를 매입한 투자자들은 단 86%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등 주요 암호화폐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SHIB의 회복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추락의 원인으로는 프로젝트 생태계 개발의 정체와 마케팅 전략의 왜곡된 방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시바이누는 단순한 밈코인에서 벗어나 시바리움, 메타버스, NFT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을 시도하였으나, 가시적인 성과는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이번 마케팅 전략은 SHIB 커뮤니티에서의 내부 저항을 단적으로 드러낸 사건이다. 과연 시바이누가 향후 밈 너머의 실용 프로젝트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 커뮤니티의 실망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신뢰 회복을 위해 무엇보다 진정한 개발 활동과 유의미한 성과가 절실히 요구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