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암호화폐 벤처투자사인 멕시벤처스(MEXC Ventures)는 최근 발표한 연구 자료에서 암호화폐 산업 내 신뢰 체계가 ‘Trust Me(믿어 달라)’에서 ‘Verify Me(검증하라)’로 전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에서 ‘준비금 증명(Proof of Reserves, PoR)’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멕시벤처스는 2022년과 2023년 연속적으로 발생한 중앙화 거래소(CEX) 붕괴 사건 이후 사용자들의 인식이 크게 변화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기존의 신뢰에 의존한 사용자 보호 방식이 상당히 취약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거래소들이 실제 고객 자산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를 입증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렇게 요구되는 검증 체계가 바로 PoR이다. PoR은 암호학적인 방법과 독립적인 감사 절차를 통해 거래소의 지급 능력을 증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PoR 시스템은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 거래소는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지갑 주소와 잔고 등의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독립된 감사 기관이 이런 데이터의 무결성을 점검하는 외부 감사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이 전체 증명에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일부 거래소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와 검증 절차를 병행하기 위해 영지식증명(ZKP)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멕시벤처스는 PoR의 한계점도 지적하며, 많은 PoR 보고서가 특정 시점의 스냅샷 기반에 그치는 점이 실시간 지급 능력 확인에는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부 거래소는 지급능력 증명(Proof of Solvency)으로의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지급능력 증명은 자산 보호뿐 아니라 부채, 차입 포지션, 대출 노출 등 재무 구조 전반을 평가하여 생태계의 건강성을 검증하는 시스템이다.
멕시벤처스는 이러한 진화가 FTX 사태 이후에 붕괴된 ‘신뢰 자본’을 복원하고, 고의적 자산 오용 및 위험한 레버리지 운영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사용자들은 포괄적이고 유효한 PoR 보고서를 통해, 자산의 안전성을 보다 명확히 검토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 이러한 기준에는 제3자 검증 여부, 부채 범위 포함 여부, 감사 시점, 온체인 지갑 공개 여부, ZKP 등의 프라이버시 보호 수단 도입 여부, 위기 대비 유동성 정책 등이 포함된다.
결국, 시장은 블록체인 기술의 본질인 ‘검증 가능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멕시벤처스는 Chainlink가 PoR 시스템에 ZKP 기술을 결합한 사례를 소개하며, 이는 중앙화 거래소, 탈중앙화 금융(DeFi), 기관 커스터디 서비스를 통합하는 새로운 투명성 표준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거래소 운영의 경쟁력은 이제 단순한 브랜드 이미지나 마케팅 전략이 아닌,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신뢰를 줄 수 있는 암호학적 및 회계학적 증명으로 변화하고 있다. 데이터 기반의 검증 시스템 도입은 사용자들이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거래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업계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