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테더 및 서클과의 협력 가능성 탐색…스테이블코인 생태계로의 진입 본격화

[email protected]



신한금융지주 회장 진옥동은 최근 스테이블코인 발행 기업인 테더와 서클의 고위 관계자들과 잇따라 면담을 진행하며 한국 금융권의 디지털 자산 생태계로의 전환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진 회장은 특히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한 협력 가능성을 논의하며, 향후 실질적인 사업 이니셔티브를 도모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진 회장은 9월 8일 서울 중구 신한금융 본사에서 테더의 이사들과 만나 스테이블코인인 USDT에 대한 협업 가능성을 논의했다. 참석한 테더의 고위 관계자들은 마르코 달 라고 부사장, 퀸 르 아시아태평양 총괄, 그리고 안드레 킴 중남미 매니저 등이며, 이번 만남은 단순한 인사차 방문이 아닌, 양측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과 협력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평가된다.

스테이블코인인 USDT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특히 변동성이 낮은 디지털 자산으로 인지되고 있으며, 글로벌 거래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자산은 디지털 결제 및 송금의 혁신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실제 금융을 보완하는 효용이 크다. 현재 테더는 해당 시장에서 가장 많은 유통량을 기록하고 있어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상당하다.

테더 경영진의 방한 일정에는 국내의 핀테크 기업인 토스와 블록체인 기술 연구에 힘쓰고 있는 고려대학교와의 만남도 포함되어 있다. 이는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운영사들이 한국 시장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강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국내의 대형 금융사들은 기존 은행 중심의 금융 환경에서의 위협을 인지하고, 스테이블코인 및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진 회장은 이보다 앞서 8월 22일에는 서클의 최고경영진과도 회동한 바 있다. 서클은 또 다른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인 USDC를 발행하며, 미국 금융 당국과의 협력을 통해 신뢰성을 강화하고 있다. 진 회장은 최근 그룹의 창립 기념 행사에서도 “플랫폼 기업 및 디지털화폐의 확산으로 인해 은행의 예금 기반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며, 기존의 수익 모델 및 고객 관리 체계에 필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같은 흐름은 금융 기관들이 결제와 송금 기술 중심의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이 국내 금융 시장에서 제도권과 접점을 더욱 확장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관련 법제화와 금융 당국의 정책에 따라 실제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