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테크 부자들은 부와 혁신의 상징이지만, 이들이 여전히 탐내는 것을 지목하자면 바로 노화의 역전이다. 특히, 그들의 젊은 피 수혈 시도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현상은 ‘병체결합(Parabiosis)’이라 불리며, 젊은 생물의 혈액을 늙은 생물에게 순환시켜 노화를 방지하려는 시술이다. 이런 접근 방식은 실제로 의학적 근거가 거의 없지만 과거부터 현재까지 끊임없는 논의의 주제가 되고 있다.
브라이언 존슨, 유명 전자 결제업체 ‘브레인트리’의 창립자는 2023년부터 자신의 17세 아들로부터 수혈을 받는 실험에 착수했다. 그는 47세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스타트업인 ‘블루프린트’를 운영하고 있다. 존슨의 시도는 논란을 일으키고 있지만, 실리콘밸리에서 병체결합에 대한 열망은 여전하다. 젊은 사람의 혈액을 활용해 노화 과정을 늦추려는 이 방식은 과거 17세기 독일에서 이미 제기된 바 있다.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2023년에 젊은 쥐와 늙은 쥐의 혈관을 결합했을 때, 노화된 쥐의 수명이 10% 증가하는 결과를 보고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과정은 주로 실험쥐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 직접 적용하기에는 위험할 수 있다. 면역 거부 반응 등의 부작용도 우려되는 바이다.
병체결합에 대한 관심은 드물게 연구되고 있으며, 팔란티어의 창립자인 피터 틸도 이 시술에 긍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과거 인터뷰에서 “젊은 피의 수혈이 노화를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병체결합 연구의 부재에 아쉬움을 표했다. 이는 그가 끊임없이 새로운 가능성 모색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방증이다.
또한, 이런 관심을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 ‘앰브로시아’가 등장했으나, 2019년 FDA의 경고로 인해 모든 실험을 중단해야 했다. 이 스타트업은 고액의 비용을 지불한 실험 참가자들에게 젊은 피를 수혈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많은 부자들을 끌어모았다. 불과 1년 만에 6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 실험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리콘밸리에서의 젊은 피 수혈과 노화 역전 열풍은 HBO의 인기 드라마인 ‘실리콘 밸리’에서도 풍자적으로 다뤄졌다. 극 중 부자 경영인의 젊은 아르바이트생이 ‘살아있는 수혈 팩’으로 이용되는 에피소드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는 실리콘밸리의 부자들이 젊음과 생명을 유지하려는 열망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것이다.
현재까지 노화 역행의 연구는 여전히 한계가 있지만, 실리콘밸리의 부자들은 여전히 희망을 안고 기술 개발에 수조 원을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생명공학 기업 ‘알토스 랩’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노화 역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제프 베이조스 등으로부터 30억 달러를 유치하였다. 뛰어난 과학자들이 참여하여 노화 방지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실리콘밸리의 젊은 피에 대한 집착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인간의 죽음을 극복하고자 하는 오랜 갈증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시도가 불러오는 윤리적 논란과 실제적인 의학적 근거 부족에도 불구하고, 부자들의 탐험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