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996’ 근무 문화 부상…중국은 ‘야근 금지’ 캠페인

[email protected]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인공지능(AI) 붐과 함께 중국의 고강도 근무 문화인 ‘996’이 확산되고 있다. ‘996’ 근무제는 주 6일 하루 12시간 일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중국의 기술 산업에서 시작되어 많은 기업가들이 지지하는 문화로 자리잡았다. 이와 같은 분위기는 미국의 스타트업들 사이에서 충성심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엔비디아와 구글과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경제 전문 매체인 쿼츠에 따르면,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들이 72시간 주 근무제를 되살리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스타트업 사회에서 ‘현대판 노예제’와 비교되기도 하며, 중간 관리직 이상의 직원들이 이러한 근무 관행을 묵인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예를 들어, 결제업체인 램프의 소비지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초 이후 토요일 법인 카드 사용이 전년 대비 급증했으며, 이는 주말에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이들이 많아졌음을 반영한다.

뉴욕타임스는 AI 열풍 속에서 ‘996’식 초과근무가 출세의 지름길로 간주되고 있으며, 일에 대한 진지한 태도를 입증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문화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투자자와 기업들이 이를 장려하는 경우도 많다.

반면, 중국에서는 ‘야근 금지’라는 새로운 직장 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과로 사회 문제로 인해 기업들은 직원들에게 정해진 시간 내에 퇴근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오후 6시 20분까지 업무를 마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번 움직임은 과로로 인한 사회적 비극과 정부의 규제 강화에 기반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1년부터 ‘996’ 근무 문화에 대한 법제화를 진행해왔으며, 이로 인해 주 72시간 근무를 강제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동안 ‘996’ 문화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여러 비극적인 사건들이 이러한 변화의 계기가 되었고, 궁극적으로는 노동 환경 개선과 직원 복지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초과 근무는 중국 내에서 흔한 현상으로 남아 있으며, 노동법의 미비한 시행과 낮은 최저임금 등이 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중국의 노동법은 하루 8시간, 주 44시간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5월까지 중국인의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48.5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근로자들은 초과근무 수당 없이 성과급에 의존해 있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과도한 업무로 지치고 있다.

결론적으로, 실리콘밸리에서는 ‘996’ 근무 문화가 확산되는 반면, 중국에서는 과로 문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함께 직원들의 워라밸을 지키기 위한 ‘야근 금지’ 캠페인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반된 현상은 두 지역의 사회적 분위기 및 기업 문화의 차이를 잘 보여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