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랫폼, AI 산업 혁신 위한 상장 추진

[email protected]





심플랫폼이 산업용 인공지능(AI)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상장 절차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12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강태신 대표는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되는 AIoT 솔루션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 격차를 해소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2011년에 설립된 심플랫폼은 AI 기술을 통해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는 품질 관리 솔루션을 개발한 업체로, 특히 제조업에 특화된 산업용 AI 기업으로는 최초로 상장을 예정하고 있다. 강 대표는 “산업용 AI의 특성상 데이터 수집이 어렵고 다양한 기기 간 프로토콜 차이로 인해 표준화가 힘든 상황이다. 이는 투자 비용 증가로 이어져 기업 간 양극화를 초래하고 있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용 AI의 확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심플랫폼의 핵심 기술로는 변화하는 데이터 환경을 인지하고 재학습을 실행하는 ‘데이터 드리프트 감지’와 비정상 데이터가 드문 상황에서도 고장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레어 이벤트 탐지’가 있다. 이 회사는 DB하이텍, 축산물품질평가원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보인 바 있다.

특히 반도체 부문에선 웨이퍼 장비의 불량 유무를 파악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메탈 마스크의 질적 판별에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공공 기관에선 반도체 검사 기술을 통해 고기의 등급을 판별하는 AI 솔루션으로도 응용 성공 사례를 보이고 있다.

최근 심플랫폼은 지난해 기준으로 연 매출 72억원, 영업 손실 약 6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향후 상장을 통한 신뢰도 상승으로 고객사를 확대하고 올해에는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플랫폼은 이번 IPO를 통해 총 92만주의 신주를 모집할 계획이다. 공모가는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설정되며, 총 공모액은 120억에서 138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예측은 이달 27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진행되며, 일반 청약은 11일과 12일에 실시된다. 주관사는 KB증권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