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의 인민행동당(PAP)이 2025년 총선에서 대승을 거두며 다시 한 번 월리엄 웡 총리에게 권력을 부여했다. PAP는 97석의 국회에서 87석을 확보하였으며, 주요 야당인 노동자당(Workers’ Party)은 10석을 지켰다. 이번 선거의 투표율은 92.47%로 기록되었고, 이는 시민의 투표 의무를 감안할 때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이번 총선에서 PAP는 과거 2020년 선거의 61.2%에서 65.57%로 투표율을 증가시켰다. 이는 월리엄 웡 총리가 총리로서 직접 참가한 첫 번째 총선에서 이룬 성과로, 그가 행정 수장으로서 국민의 신뢰를 더욱 확고히 하였음을 보여준다. 월리엄 웡은 지난해 5월 리셴룽 전 총리의 뒤를 이어 총리직을 맡았다. 웡은 이번 선거에서 첫 번째로 투표율을 증가시킨 PAP의 지도자로 기록되며, 이는 과거 1991년과 2006년의 총선에서 총리가 바뀌었을 때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는 “결과에 대해 깊은 겸손과 감사함을 느낀다”며, “싱가포르 국민들이 PAP에 강력한 통치에 대한 신뢰를 주었다”고 밝혔다. 또한, 웡은 이번 결선 결과가 싱가포르가 세계 경제의 불안정한 상황에 보다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국제 미디어, 투자자, 외국 정부 모두 이번 결과를 주목하고 있을 것이며, 이는 정부에 대한 신뢰와 안정성의 명확한 신호”라고 덧붙였다.
이번 총선은 세계적인 무역 혼란 속에서 열렸으며, 싱가포르의 경제 성장과 생활비 상승, 고용 전망 등이 주요 쟁점으로 대두되었다. 신뢰적인 정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국민의 의지를 반영한 이번 선거는, 웡이 강조한 것처럼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중요한 정치적 메시지를 발신하는 기회가 되었다. 최근 싱가포르는 GDP 성장률 전망을 0%에서 2%로 낮추었고, 첫 분기 GDP 성장률도 예상에 미치지 못해 3.8%를 기록하였다.
또한 웡 총리는 2025년 경제 침체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하며,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한 기업과 근로자들의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였다. 이 태스크포스는 최근 미국 상무부와의 논의에서도 생명공학 수출에 대한 양보를 모색하고 있으며, 고급 AI 칩의 수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 선거의 결과는 국내외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싱가포르의 경제 안정성과 국제적 신뢰 구축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