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쌀값이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며 농업계와 소비자들은 혼란에 빠졌다. 정부의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1.7% 상승했으나, 농축수산물 가격은 4.8% 급등하여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 것이 소비자 물가 상승에 기여하였다. 특히 찹쌀(45.6%), 복숭아(28.5%), 고등어(13.6%)와 같은 품목의 가격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쌀 가격도 11% 상승하며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가 쌀 생산량을 줄이는 대신 올해 쌀 26만2000톤을 시장에서 격리하기로 한 결정과 관련이 깊다. 지난해 쌀 생산량이 358만5000톤으로 수요를 5만6000톤 초과했음에도, 정부는 쌀값 하락을 우려하여 과도한 격리를 단행해 시장의 기대감을 높였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인위적인 수급 조절이 결국 쌀값 상승을 초래하였고, 하반기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오르는 이례적인 현상이 발생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가격 급등에 대한 농민들의 갈등과 불만도 한몫하고 있다. 지난해 쌀값이 80kg당 20만 원을 넘지 못하자 농민들은 정부의 가격 보전을 요구하며 불만이 커졌고, 일각에서는 트랙터 시위까지 예상되었다. 결국 정부는 긴급 대응으로 3만 톤의 양곡을 대여 형식으로 시장에 방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는 기존 공매와 달리, 공급받은 업체가 내년에 동일 가치의 햅쌀로 갚는 조건으로 진행되며, 시장의 가격 안정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추석을 앞두고 식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축산물 가격이 7.1%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은 추가적인 부담을 느끼고 있다. 소와 돼지의 도축 마릿수 감소와 휴가철 수요 증가가 가격 상승의 주 요인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돼지고기 및 소고기 수입량 감소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올해 공공비축 계획을 통해 쌀 45만 톤과 콩 6만 톤을 비축하며 식량안보를 강화하고자 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결국 쌀값 급등과 소비자 물가 상승은 농업 정책과 시장 수급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경우, 정부는 추가적인 조치를 검토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