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2033년까지 직원 75%를 자동화로 대체할 계획

[email protected]



아마존이 향후 10년 간 사업 운영의 75%를 자동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는 보고가 나왔다. 이 계획에 따르면,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통해 2033년까지 약 60만명의 직원이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뉴욕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 내부의 전략 문건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지난해 아마존 이사회에 보고된 내용이다.

해당 문서에 명시된 바에 따르면, 아마존의 자동화 팀은 2027년까지 미국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중 약 16만명을 자동화 기술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통해 아마존은 제품 당 포장 및 배송 비용을 약 30센트(430원)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계산하고 있다. 또한, 2033년까지 아마존의 제품 판매량이 두 배로 증가하더라도 추가 인력 없이 AI와 로봇을 활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비쳤다.

현재 아마존은 팬데믹 기간 동안 온라인 쇼핑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인력을 대규모로 채용하였고, 현재 미국 내 직원 수는 약 120만명에 달하고 있다. 이는 월마트에 이어 미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고용 수치다. 그러나 자동화 전략이 본격화될 경우 아마존의 직원 수 증가는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존 측은 사람들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로봇’이라는 용어 대신 ‘인간과 협업하는 로봇’을 뜻하는 ‘코봇(cobot)’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직접적인 용어 대신 ‘첨단기술’이라는 좀 더 긍정적인 용어를 선택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지역사회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고용 축소에 대한 반발을 줄이려는 노력을 권장하고 있다.

아마존의 기존 전략은 그동안 제프 베이조스 창립자에 의해 추진되어온 로봇과 AI를 통한 전면적인 자동화 비전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아마존은 이번 NYT 보도에 대해 “문서가 전반적인 고용 전략을 대표하지 않으며, 올해 연말 시즌에 25만명을 새로 고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MIT의 다론 아제모을루 교수는 아마존의 자동화 추진이 다른 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하며, “아마존이 자동화를 수익성 있게 실현한다면 다른 기업들도 이를 따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자동화 계획이 구현된다면 아마존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자라기보다는 기존 일자리를 파괴하는 주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