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아메리칸항공이 비행 중 뇌졸중을 앓은 승객에 대해 960만 달러(약 134억 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라는 법원의 판결을 받았다. 사건은 2021년 11월, 마이애미에서 스페인 마드리드로 향하는 국제선 항공편에서 발생했다. 당시 67세의 요리사 헤수스 플라센시아는 비행기가 게이트에 정차 중일 때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인 일과성 허혈 발작을 겪었다.
플라센시아의 아내는 승무원에게 남편이 운동 기능을 잃고 “횡설수설하며 말이 어눌하다”고 이야기했지만, 승무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떠한 의료 지원도 요청하지 않았다. 항공기는 결국 이륙을 승인했고, 비행이 시작된 뒤 수 시간이 지난 후 플라센시아는 본격적인 뇌졸중 증상을 보이게 되었다. 비행기가 마드리드에 착륙한 후 8시간이 지나서야 그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이 사건에 대한 아내의 소송에서 배심원단은 아메리칸항공이 자체 의료 지침을 무시한 점을 지적하며 항공사에 손해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결정을 내렸다. 변호인은 아메리칸항공의 뇌졸중 대응 지침에는 즉각적인 의료 지원 요청과 필요 시 항공기 회항이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하며, 승무원들이 이를 무시한 것을 비판했다. 플라센시아의 아내는 소장에서 “비행 이후 2년이 지난 지금도 남편은 언어 및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며, 일상적인 생활 활동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라고 주장했다.
아메리칸항공 측은 해당 사건에 대한 내부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승객의 안전과 건강은 최우선 과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 항공사는 배심원단의 결정에 대해 동의하지 않으며 항소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런 사건은 항공사들이 고객의 건강과 안전에 대해 얼마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번 사건은 아메리칸항공의 규정과 응급 대응 체계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향후 유사한 사고 방지를 위한 체계적 개선이 절실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