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사이, 디파이(DeFi) 프로토콜 아베(AAVE)의 토큰 가격이 8%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가격 하락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가족이 후원하는 디파이 플랫폼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에 대한 새로운 루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주된 내용은 아베가 WLFI 전체 토큰 공급량의 7%를 받을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하지만 WLFI 측은 이와 같은 주장을 “사실무근”이라고 강력히 부인하며, 해당 루머의 확산 이후 커뮤니티 내에서는 활발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계 블록체인 저널리스트인 우콜린(Colin Wu)은 이 사안을 최초로 보도하며, “아베가 WLFI 토큰의 7%를 받는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WLFI 팀도 이 주장을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선언하며 상황을 진화하려 하고 있다. 루머의 출처는 지난 10월 WLFI 커뮤니티에서 제안된 거버넌스 안건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제안은 아베 DAO가 WLFI 디플로이먼트에 따라 WLFI의 전체 유통량 중 7%를 거버넌스 토큰으로 받으며, 추가적으로 프로토콜 수익의 20%를 얻는 구조를 담고 있었다.
이로 인해 아베 생태계 내에서는 WLFI와의 협업 가능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해졌으며, 현재도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아베와 WLFI 간의 관계가 공식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으나, WLFI가 아베 v3에 구축될 가능성에 대한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루머는 특정 인물이나 정치적 배경이 연계된 프로젝트가 어떻게 시장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된다.
투자자들은 이번 루머로 인해 아베 토큰의 변동성을 체감하고 있으며, WLFI와의 궁극적인 관계가 향후 가격 흐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WLFI 측의 공식 입장과 아베 DAO 커뮤니티의 대응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다. 이 사건은 디파이 시장 내에서 정보의 신뢰성과 투자자의 심리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베(AAVE)와 WLFI의 향후 관계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