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멕스의 공동 창립자인 아서 헤이즈는 최근 비트코인(BTC)의 전망에 대한 눈길을 끄는 발언을 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명한 스티븐 미런이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위원으로 인준된 이후, 비트코인이 1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다. 헤이즈의 주장에는 미국 통화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단순한 낙관주의를 넘어서고 있다.
미런은 지난 16일(현지 시간) 미국 상원에서 48대 47의 표차로 연준 이사로 승인을 받았다. 그는 과거 “비트코인이 문제를 해결한다”고 언급한 바 있으며, 최근 연준의 법적 책무로 ‘완만한 장기 금리 유도’를 강조하면서 이를 새로운 ‘세 번째 책무(Third Mandate)’로 인식하는 시각이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미런의 임명은 금융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미런의 입성 직후, 시장에서는 수익률 곡선 제어(Yield Curve Control, YCC) 정책이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YCC는 중앙은행이 특정 수준의 국채 금리를 설정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는 단기적으로 달러 유동성을 급증시키고 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의 가치를 높일 것으로 헤이즈는 예측하고 있다.
그는 최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에 “미런이 연준 이사에 임명됨과 동시에, 주류 미디어는 세 번째 책무와 YCC를 인정하며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는 분명히 더 많은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는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그는 “YCC = 비트코인 100만 달러”라는 간단한 공식으로 비트코인의 상승 가능성을 확신했다.
헤이즈는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얽매이지 않고, 장기적인 구조 분석에 기반하여 비트코인 시장의 동향을 평가하고 있다. 그는 크립토 분야의 유명 인플루언서 카일 샤세와의 인터뷰에서 전통적인 4년 비트코인 주기 시장 분석법은 이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중앙은행들이 계속해서 재정 확장과 금리 인하를 추구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다.
비트코인은 현재 강한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September 셋째 주 기준으로 BTC는 7일 동안 5.1% 상승해 117,000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8월 14일 기록한 최고가인 124,457달러에 비해 불과 5.6% 낮은 수준이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96%의 확률로 연준이 25bp의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재정 확대 정책, 금리 인하 기대, 그리고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수요 증가는 헤이즈가 주장하는 강세 시나리오의 근거가 되고 있다.
스티븐 미런의 등장이 이와 같은 자산 유동성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 투자자들 사이에서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