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가격이 예상치 못한 급등세를 보이며,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마엘스트롬 CEO가 다시 매수에 나섰다. 불과 일주일 전 헤이즈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동결과 지정학적 불안정을 이유로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을 예고하며 ETH를 대규모로 매도했었다. 당시 그는 이더리움 보유량의 대부분을 처분하며 약 800만 달러(한화 약 111억 2,000만 원) 상당을 매도했고, 이와 함께 밈코인 페페(PEPE)와 에테나(ENA)도 포함됐다.
헤이즈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무산된 점과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으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암호화폐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그의 예상과는 정반대로 시장은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더리움은 지난 며칠간에 걸쳐 4,200달러(한화 약 583만 8,000원) 선을 돌파하며, 일주일 사이에 20% 이상 상승, 수년 만에 최고점을 기록했다. 이는 헤이즈가 예상했던 하락 지점인 3,000달러(한화 약 417만 원)와 큰 격차를 보이는 결과였다.
이러한 급변하는 시장 상황을 받아들인 헤이즈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전량을 다시 매수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손가락 걸기 약속까지 덧붙여 “이제는 차익 실현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와 함께 이더리움의 가격 차트도 공유하며, ETH의 낙관론자인 탐 리(Tom Lee)에게 사과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러한 발언은 일종의 ‘시장에서의 패배 선언’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인이 일찍 매도한 것에 대한 후회의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헤이즈의 이번 행동은 시장에서의 투자 타이밍이 얼마나 예측하기 힘든지를 강조하는 사례로, 연준의 통화정책이나 외교 전략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새삼 일깨우고 있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은 단기적인 트렌드보다는 복잡한 반작용과 변동성을 특성으로 하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함을 새겨주고 있다. 시장의 변화는 예측할 수 없는 복잡한 요소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투자자들은 유동적인 시장 상황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헤이즈의 대응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잘 보여주는 예시로, 신중한 투자 판단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이더리움 가격이 급등세를 이어가며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은 가운데, 다수의 투자자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지켜보는 것도 중요한 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단순한 투자 전략을 넘어, 변화하는 시장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행동이 필요함을 잘 말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