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고액 자산가들, 암호화폐 포트폴리오에 5% 이상 투자 계획

[email protected]



아시아의 부유한 개인들과 패밀리오피스들이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관심을 높이고 있다. 특히 일부 고액 자산가들은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의 약 5%를 암호화폐 자산에 할당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싱가포르, 홍콩 및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고액 자산가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화를 나타낸다.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넥스트젠 디지털 벤처(NextGen Digital Venture)의 창립자인 제이슨 황(Jason Huang)은 최근 롱숏 크립토 주식 펀드를 출시하고, 불과 몇 달 만에 1억 달러(약 1,390억 원) 이상의 자금을 모집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전 펀드에서 2년도 채 되지 않아 375%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성과를 입증한 바 있다.

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중국 본토의 일부 패밀리오피스들이 이번 투자 증가의 중심에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2세 및 3세 경영자들이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이는 아시아 암호화폐 시장의 성숙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유입 확대는 거래소 지표에서도 확인된다. 홍콩의 해시키 거래소(HashKey Exchange)는 2025년 8월 기준으로 등록 사용자 수가 전년 대비 85% 급증했다고 보고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주요 3대 거래소의 거래량은 올해 들어 17% 증가했으며, 평균 일일 거래량은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몇 년간 아시아 시장에서의 암호화폐 열풍은 주로 개인 투자자 중심이었다.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에 의하면, 2023년 중반부터 2024년 중반까지 중앙·남부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CSAO) 지역에서는 총 7,500억 달러(약 1,042조 5,000억 원) 규모의 암호화폐가 유입되어 대부분 소액 거래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인도는 거래소 사용량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하며,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역시 디파이(DeFi), 송금 서비스 및 P2E(Play to Earn) 게임을 통해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더욱이, 싱가포르의 경우 2024년 2분기 기준으로 상점들이 약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수용했으며, 스테이블코인 거래의 활발함이 주목받고 있다. 반면 동아시아에서의 흐름은 다소 다르다. 같은 기간 동안 동아시아 지역에는 약 4,000억 달러(약 556조 원) 규모의 자금이 암호화폐로 유입되었으며, 이는 개인보다는 전문가 및 기관의 활동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1,300억 달러(약 180조 7,000억 원)의 유입을 기록하고 있다. 주 거래는 알트코인 및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전문 거래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김치 프리미엄’을 이용한 차익 거래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홍콩은 연간 85.6%의 성장을 보이며 가장 빠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체 유입의 40% 이상이 스테이블코인 거래를 통한 것이다.

이번 변화는 아시아의 암호화폐 시장이 단순한 소매 투자 단계에서 전문 투자 및 기관 참여로 전환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고액 자산가와 기관의 유입은 시장의 성숙도를 높이는 동시에 암호화폐를 보다 전략적인 포트폴리오 다변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