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의 최신 스마트폰인 아이폰17이 암호화폐 지갑 보안 분야에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최신 A19 칩셋에 탑재된 메모리 무결성 집행(MIE) 기능과 태그 기밀성 강화(TCE) 기능은 해커들이 자주 이용하는 메모리 취약점과 부채널 공격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암호화폐 지갑 사용자들에게 중요한 보안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MIE 기능은 암호화폐 지갑의 서명을 보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동시에 협력하여 메모리 기반 공격을 실시간으로 차단한다. 애플은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 없이 항상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특히 고자산 보유자나 잦은 지갑 서명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는 큰 진보라고 설명했다. 코보(Cobo)의 공동 창립자인 디스커스피시(DiscusFish)는 MIE 기능이 고자산 보유자들에게 강력한 안전 장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MIE는 향상된 메모리 태그 확장(EMTE)을 통해 버퍼 오버플로우와 해제 후 사용 같은 고전적 해킹 기법을 즉시 차단한다. 이는 사실상 소프트웨어 취약점의 약 70%를 제어하고 암호화폐 서명 과정의 근본적인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TCE 기능을 활용하여 스펙ulative 실행(speculative execution)과 같은 부채널 공격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애플 보안팀은 이러한 보안 기능들이 실제 공격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테스트되었으며,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위협을 성공적으로 차단했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라 MIE는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보안 구조 자체의 혁신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 기능은 개발자들에게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며, 암호화폐 앱 개발자는 X코드(Xcode)의 강화된 보안 설정을 활용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애플 생태계에 포함되지 않은 앱들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콜라보레이션 기회를 제공한다.
아이폰17의 보안 조치는 별도의 하드웨어 지갑이나 서명 장비가 필요 없는 실질적인 사용자 편리함을 높여주며, 여러 번의 서명을 요구하는 사용자에게는 사실상 반(半)하드웨어 지갑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현재의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한편, 웹3 보안업체 서틱(CertiK)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들어 암호화폐 관련 해킹이나 침해 사례로 이미 21억 달러가 유출되었으며, 그 중 16억 달러는 지갑 앱에서 발생한 보안 사고로 확인되었다. 암호화폐 지갑 관련 사고는 가장 치명적인 해킹 경로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어, 애플의 아이폰17이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