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일랜드의 저명한 스포츠 스타 데니스 조셉 케리가 암 투병 중이라고 속여 거액을 갈취한 혐의로 징역 5년 6개월의 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허링계의 마라도나”라 불리던 전설적인 선수로, 은퇴 이후 사업에 실패하며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렸다. 그 과정에서 그는 암 환자인 척하기 위해 코에 핸드폰 충전기를 꽂아 팬들과 지인들에게 사진을 보내며 기부금을 요청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케리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킬케니의 허링팀에서 활약하며 여러 메달을 따내고 많은 이들의 우상으로 군림했다. 하지만 2006년 은퇴 후 위생용품 유통과 호텔 납품 등 다양한 사업에 도전했으나 모든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 극심한 재정적 위기를 맞게 된다. 2011년, 그는 얼라이드 아이리시은행으로부터 730만 파운드를 변제하라는 판결을 받으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케리는 결국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암 투병을 가장하게 된다. 그가 코에 충전기를 꽂은 모습은 뻔히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를 사진으로 찍어 지인 및 팬들에게 전송하며 동정심을 유도했다. 이로 인해 안타까운 마음을 가진 이들은 그에게 기부금을 송금했고, 피해액은 약 6억50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건을 심리한 마틴 놀런 판사는 “케리는 대중의 증오와 조롱을 받았다”며 “그의 명예는 회복될 수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특히 그의 범행은 다른 피해자가 금융기관에 돈을 이체하려던 중에 수상하게 여겨진 사건을 계기로 밝혀졌다. 케리는 “병원 치료 중 과다 방사선 노출로 피해를 보았다”며 보건당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라는 잘못된 주장을 하며 사람들을 속였다.
놀런 판사는 “그가 어떠한 소송도 제기하지 않았으며, 자신이 갈취한 돈을 반환할 의사도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가 이렇게 행동한 이유는 이해할 수 없다. 대개 사기범들은 인간의 탐욕을 이용하지만, 케리는 남의 선한 마음을 악용했다”며 그의 행위가 암 투병이라는 매우 민감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과거의 사회적 기여를 감안하여 선고형을 완화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이 사건은 스포츠계의 전설이 어떻게 몰락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충격적인 사례로 남게 되었다. 케리는 이제 더 이상 유명 선수로서의 이름을 가질 수 없으며, 그의 행위는 많은 이들에게 큰 실망을 주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