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알트코인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2020년 대세 상승기와는 다른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시장조성업체 윈터뮤트(Wintermute)는 이번 상승 흐름이 ‘선별적이고 제도화된, 그리고 절제된’ 상태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가격 상승에 대한 낙관론보다는 경기 둔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비둘기파적 스탠스 전환, 그리고 인플레이션 완화 등의 거시경제적 요인이 뒷받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각 3%, 4% 상승한 반면, 솔라나(SOL)는 10% 가까이 급등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디지털 자산 수탁 형태의 포트폴리오 전환, 탈중앙화 거래소(DEX) 거래량의 증가, 그리고 기관 투자자의 매수 포지션이 주요 배경이 되고 있다. 한때 알트코인과 관련된 선물 미결제약정 총액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합친 규모를 초과하기도 했지만, 최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조정 국면이 나타나면서 투자자들은 무조건적으로 매수하는 대신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다.
윈터뮤트는 현재의 암호화폐 시장 규모가 2020년 대비 약 10배에 달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M2 통화의 증가율은 팬데믹 시기에 비해 급증하지 않고 있으며, 기준금리는 여전히 높은 상태라 과거처럼 저금리에 따른 대규모 유동성 유입이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알트코인이 과거처럼 높은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이번 사이클에서 더욱 뚜렷한 변화는 투자 주체의 구조이다. 이전 상승 장세에서 소매 투자자들이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기관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 ETF를 비롯해 규제화된 커스터디 서비스, 기업에서의 디지털 자산 운용 등을 통해 들어오는 신규 자금의 60~70%가 기관 투자자에게서 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규제를 준수하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와 같은 주요 자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유틸리티가 뒷받침되지 않는 중소형 알트코인으로의 자금 유입은 과거의 일로 여겨진다.
또한, 알트코인 시장 전체 시가총액도 최근 일주일 사이 약 2,000억 달러 증가하여 2021년의 최고치에 근접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다만 이번 상승은 단순히 ‘밈(Meme)’이나 과도한 기대감을 기반으로 한 거품이 아니라, 실질적인 채택과 기관 시스템에 기반한 확장이라는 점에서 과거와는 다르다. 유럽의 미카(MiCA) 규제를 통한 제도적 명확성과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ETF의 확대, 그리고 기업 자산의 토큰화 실험이 그 근거로 지목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알트시즌이 있다면, 그것은 투기적 매수가 아니라 ‘실질적 효용성’과 제도적 정비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 상승 흐름이 되어갈 가능성이 크다. 여전히 높은 금리와 커진 시장 규모로 인해 비이성적인 급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현재는 쇼맨십이 아닌, 기초 체력이 뒷받침된 프로젝트들만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상황임을 투자자들은 인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