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 시장의 위기…전문가들, 구조적 문제로 유동성 부족 진단

[email protected]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심각한 침체기를 겪고 있으며,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와 같은 주요 자산조차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알트코인 전반에 걸쳐 유동성 위축 그리고 투자 심리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이 단순한 가격 조정의 결과가 아니라고 강조하며,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가 원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익명의 암호화폐 전문가 ‘Route 2 FI’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X에서 시장의 위험 신호를 경고했다. 이 전문가가 지적한 세 가지 핵심 문제는 과도하게 포화된 코인 공급, 불완전하게 설계된 토크노믹스, 그리고 초기 과대 평가된 프로젝트의 과잉 상장으로 압축된다. 상위 50개 알트코인의 가격이 2022년 FTX 사태 직후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점에서 시장의 기대감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 신호로 해석된다.

많은 투자자들이 심리적 탈진을 경험하고 있으며, Route 2 FI는 특히 10월 초에 발생한 강력한 매도세로 인해 100만 명 이상의 활동적인 트레이더들이 자산을 잃었다고 밝혔다. “블랙 프라이데이 이후, 암호화폐 트레이더의 절반이 자산을 전부 잃었고, 이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는 그의 진단은 시장 신뢰의 회복이 긴 시간 걸릴 것임을 시사한다.

이 시점에서 비트코인은 12만 2,000달러(약 1억 6,958만 원)에서 10만 1,000달러(약 1억 4,039만 원)까지 급락했다가, 이후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로 반등했으나 여전히 불안정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미·중 간 지정학적 긴장도 가격 변동의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더리움 또한 한때 3,700달러(약 513만 원) 아래로 하락한 후 현재 4,000달러(약 556만 원)를 회복했지만 여전히 최고가 대비 18% 하락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주요 알트코인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에이다(ADA),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수이(SUI), 바이낸스코인(BNB) 등이 최근 일주일간 7~17%의 가격 하락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약세를 드러내고 있다. Route 2 FI는 현재 중앙 집중식 거래소(CEX) 상장 이벤트가 더 이상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벤처 투자를 받은 토큰들이 락업 해제 후 시장에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을 새로운 위기로 진단하고 있다.

그는 “쓸모없는 기술과 제품 시장 적합성(PMF)을 찾지 못한 프로젝트,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토크노믹스, 과잉 공급 문제 등이 알트코인을 짓누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높은 완전 희석 평가 기준(FDV)으로 출시되는 신규 토큰들이 기존 시장 자금을 분산시키면서 기존 프로젝트들도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해결책은 존재한다. Route 2 FI는 “생존하기 위해서는 특화된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고 조언하며, 트레이딩, 콘텐츠 제작, 커뮤니티 활동 등 개인의 고유한 강점을 개발하는 것이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시장이 침체된 시기에도 멘토, 파트너, 구직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이번 시장 상황은 단순한 가격 조정보다 깊은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더욱 냉철한 시각과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부정적인 시장 환경 속에서도 차별화된 접근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Leave a Comment